- 발음
- [다짐

- 품사
- 「명사」
- 「001」이미 한 일이나 앞으로 할 일에 틀림이 없음을 단단히 강조하거나 확인함.
- 다짐을 받다.
- 그는 꼭 돌아오겠다는 다짐도 없이 날이 밝자마자 떠나 버렸다.
- 태임이는 집요하게 다짐까지 받아 내려고 했고 그는 자포자기한 심정으로 그녀가 원하는 대로 해주었다.≪박완서, 미망≫
- 김두수는 꼭 오라는 다짐도 없이 슬그머니 가 버린다.≪박경리, 토지≫
- 만약 방성칠을 죽였을 시는 붉은 기를 돛대 끝에 달아 신호를 보내라는 다짐도 잊지 않았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 회사 측에선 즉각 인근 병원으로 옮기면서 돈 아끼지 않고 최선의 치료를 다하겠다는 다짐으로 기절한 복실이를 둘러싸고 울부짖는 여공들을 무마했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 단단히 휘어잡고 자기가 돌아올 때까지 꼭 기다리도록 다짐을 받아 놓아야 징용을 떠나도 제대로 떠날 수 있을 성싶었다.≪하근찬, 야호≫
- 부하들에게 그는, 이 일이 성공하면 효창 공원에 은닉한 장물들을 모두 분배하기로 단단히 다짐을 주고 떠났다.≪이문희, 흑맥≫
역사 정보
다딤(16세기~18세기)>다짐(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다짐’의 옛말인 ‘다딤’은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딤’은 이두 ‘侤音’의 음역어이다. 근대 국어 시기에 ‘ㄷ’이 ‘ㅣ’ 모음 앞에서 ‘ㅈ’으로 변화하는 구개음화의 영향으로 18세기에 ‘다짐’으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하는 경향으로 ‘ㆍ’와 ‘ㅏ’를 혼동한 표기가 나타나기도 하였는데, 19세기의 ‘짐’은 이를 반영한 표기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다딤, 다짐, 짐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관용구다짐(을) 두다
- 틀림이 없도록 다짐을 하다.
- 그는 아침 기상 시간만은 꼭 지켜야 되겠다고 다짐을 두었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