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덤ː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제 값어치 외에 거저로 조금 더 얹어 주는 일. 또는 그런 물건.
덤을 주다.
귤을 열 개 샀더니 가게 주인이 덤으로 두 개를 더 주었다.
생선 장수는 꽁치 한 마리를 덤으로 얹어 주었다.

역사 정보

더음(15세기~19세기)>덤(16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덤01’의 옛말인 ‘더음’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더음’은 “더하다”의 의미인 ‘더으-’에 접미사 ‘-음’이 결합한 것이다. 16세기 이후 ‘더음’이 1음절로 축소된 ‘덤’이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더음’은 원래 ‘더함, 추가함’이라는 의미를 가졌으나, 점차로 ‘제 값어치 외에 거저로 조금 더 얹어 주는 일. 또는 그런 물건.’의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더음, 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더음)
 理 기 平 더음 업스며 더룸 업스니라 ≪1465 원각 상1-1:49ㄱ
16세기 : (더음, 덤)
飮食  類에도 밥과 으란 다시 더음을 許고 ≪1588 소언 6:5ㄴ-6ㄱ
사라셔 시저 더음이 업스며 주거 후에 들리미 업게 리오 ≪1588 소언 6:109ㄱ
오 아 밥 먹던 셔 바다 가져온 은이라 ≪1510년대 번노 상:65ㄴ
18세기 : (더음)
外施 外戚에 恩惠 더음이라1737 어내 2:44ㄱ-44ㄴ
補錠 더음1748 동해 하:27ㄱ
天平地平 저울에 네 더음을 바드려 다 ≪1795 노언-중 하:26ㄴ
19세기 : (더음)
더음 밧다 加添 買物添得 ≪1895 국한 77
모든 동신의 빗 다 초아 몸에 더음이 열둘히니라 ≪1892 성직 9:68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