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갈모 편집하기 편집 금지 요청
발음
[갈모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4」예전에, 비가 올 때 갓 위에 덮어 쓰던 고깔과 비슷하게 생긴 물건. 비에 젖지 않도록 기름종이로 만들었다.
행여 비라도 또 내릴세라, 그러면 소중한 갓이 망가질 것인즉 갓 위에 갈모를 쓴 김 훈장이 장죽을 들고 두 활개를 치며….≪박경리, 토지≫

역사 정보

갇모(16세기)>갓모(17세기~19세기)>갈모(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갈모’이 옛말인 ‘갇모’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 말부터 종성의 ‘ㄷ’과 ‘ㅅ’ 표기가 혼란되었는데 17세기에 와서 ‘갇모’의 제1음절 종성 ‘ㄷ’도 ‘ㅅ’으로 적히기 시작하였다. 19세기까지 ‘갓모’로 나타났는데 17세기 이후 나타나는 ‘갓모’는 ‘갇모’와 실제 발음은 같은 것이다. 이후 ‘갈모’로 변하였는데 받침 ‘ㄷ’이 ‘ㄹ’로 변한 이유는 알 수 없다. 문세영의 ≪조선어사전(朝鮮語辭典)≫(1937)에서도 ‘갓모’와 ‘갈모’ 두 가지가 모두 표제항으로 올라 있는데, ‘갓모’항에 ‘갈모를 보라’라는 설명이 있다. 이러한 설명을 볼 때, 이미 ‘갈모’가 일반적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형태/이표기 갇모, 갓모
세기별 용례
16세기 : (갇모)
우리 지븨 젼산과 갇모와 가지라 가노라 ≪1510년대 번박 상:65ㄱ
17세기 : (갓모)
雨籠 갓모1690 역해 상:43ㄴ
油罩 갓모1690 역해 상:43ㄴ
18세기 : (갓모)
내 집의 가 담유삼과 갓모를 가져오려 노라 ≪1765 박신 2:3ㄱ
油帽 갓모1775 역보 28ㄱ
19세기 : (갓모)
갓모 笠冒 ≪1895 국한 10

다중 매체 정보(1)

  • 갈모

    갈모

관용구·속담(1)

속담갈모 형제라
갈모의 모양이 위는 뾰족하고 아래는 넓은 데서, 아우가 형보다 나은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