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덜ː다

- 활용
- 덜어[더러



- 품사/문형
- 「동사」 【…에서 …을】
- 「001」일정한 수량이나 정도에서 얼마를 떼어 줄이거나 적게 하다.
- 다섯에서 둘을 덜다.
- 짐칸에서 짐을 덜다.
- 어머니는 상자에서 사과 몇 개를 덜어 내고는 남은 사과를 모두 작은집에 보내셨다.
- 어머니는 그릇에서 밥을 덜어 내 밥그릇에 얹어 주셨다.
- 찢어지게 가난한 친정은 먹는 입 하나라도 덜어야 할 형편이라 어느 아전 집에서 드난살이를 했다.≪한무숙, 만남≫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들다(강원)
역사 정보
덜다(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덜다01’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15세기의 ‘덜-’은 ‘ㄴ’, ‘ㄷ’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종성 ‘ㄹ’이 탈락하여 ‘더-’로 나타났는데, 근대 국어 이후에는 여기에 ‘ㄷ’에서 구개음화되어 ‘ㅈ’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도 ‘더-’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현대 국어에서는 ‘ㄴ’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하는 경우에만 ‘ㄹ’이 탈락한다. |
---|---|
이형태/이표기 | 덜-, 더-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