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달타발음 듣기]
활용
닳아[다라발음 듣기], 닳으니[다르니발음 듣기], 닳는[달른발음 듣기], 닳소[달쏘발음 듣기]
품사
「동사」
「001」갈리거나 오래 쓰여서 어떤 물건이 낡아지거나, 그 물건의 길이, 두께, 크기 따위가 줄어들다.
바지가 닳다.
발톱이 닳다.
여기저기 돌아다니다 보니 신발이 다 닳아 못 쓰게 되었다.
그는 옷깃이 다 닳아 해지도록 그 옷만 입고 다녔다.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닳다(16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닳다’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이형태/이표기 닳다
세기별 용례
16세기 : (닳다)
구무 안히 달티 아니케 기조치로 바가 잇 쇠 술윗 ≪1510년대 번노 하:36ㄱ-36ㄴ
17세기 : (닳다)
달타 泐 ≪1657 어록-초 2ㄴ
술윗통 안히 달티 아니케 기조치로 박은 쇠 술윗 ≪1670 노언 하:32ㄴ
아홉 의 아 가온 피 달코 두 니 희고 ≪17세기 마경 상:13ㄱ
스믈여 의 우 아 달하 다 누로고 ≪17세기 마경 상:14ㄴ
18세기 : (닳다)
 나흔 등 헐고 나흔 굽 달코 세흔 여외니 ≪1790 몽노 5:12ㄴ
磨透 달하 러지다 ≪1775 역보 56ㄱ
19세기 : (닳다)
달타 弊 ≪1880 한불 46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