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서ː옥쩨]
- 품사
- 「명사」
- 분야
-
『역사』
- 「001」고구려 때부터 이어져 온 결혼 제도로, 남편이 아내의 집에 들어가 사는 처가살이를 이르던 말. 아들과 딸을 둔 양쪽 집안이 결혼에 합의하면 신붓집 뒤꼍에 서옥이라는 별채를 지어 신혼집으로 사용하다가, 자식을 낳아 그 자식이 장성하면 남편이 아내와 자식을 데리고 자신의 집으로 돌아갔다.
- 고려 시대의 여성이 경제권뿐만 아니라 가정 내의 지위가 상당히 높았던 이유는 고구려 때부터 이어 온 서옥제의 풍속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수원일보 2010년 2월≫
- 부여와 고구려의 취수혼도 그러하지만, 고구려의 서옥제와 동옥저의 예부제가 특기된 것도 당시 중국의 혼인 풍속에 비추어 그것이 현저하게 이질적이었기 때문일 것이다.≪법률저널 2014년 8월≫
관련 어휘
- 참고 어휘
- 민며느리-제(민며느리制), 민며느리^제도(민며느리制度), 예부-제(豫婦制)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