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이마

- 품사
- 「명사」
- 분야
-
『건설』
- 「004」아궁이 위 앞에 가로로 걸쳐 놓은 긴 돌.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니맣(15세기~19세기)>니마(17세기~19세기)>이마(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이마’의 옛말인 ‘니맣’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났다. 이 단어는 모음이나 ‘ㄱ, ㄷ’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결합할 때에는 끝소리인 ‘ㅎ’이 나타나지만, 그 밖의 조사와 결합하거나 단독으로 쓰일 때에는 끝소리 ‘ㅎ’이 나타나지 않는 ‘ㅎ 종성 체언’으로서 ‘니맣/니마’의 이형태 교체를 보였다. 17세기에는 ‘니마과, 니마를’과 같이 기존에 ‘니맣’이 쓰이던 환경에서도 끝소리 ‘ㅎ’이 완전히 탈락한 ‘니마’가 쓰인 예가 등장하였다. 근대 국어 후기에 단어 첫머리에서 모음 ‘ㅣ’나 ‘ㅑ, ㅕ, ㅛ, ㅠ’ 앞의 ‘ㄴ’이 탈락하는 변화가 일어나 19세기에는 어두 음절의 ‘니’가 ‘이’로 바뀐 ‘이마’ 형태가 등장하였다. |
---|---|
이형태/이표기 | 니맣, 니마, 이마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