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독자-론 편집하기 편집 금지 요청
발음
[독짜론]
품사
「명사」
분야
『문학』
「001」문학 작품을 감상하거나 비평할 때, 문학 작품을 향유하는 독자에 초점을 맞추어 작품을 해석하는 태도 또는 입장. 작품과 독자의 관계에 중심을 둔다.
동포 문학론을 구성하는 작가, 언어, 주제, 독자론 등 그 어느 경우에 비춰 보더라도 절실하게 ‘확장된 한국 문학’의 하나로 파악하기에는 지나치게 확장된 사례로 보이기 때문이다.≪유종호, 한국 현대 문학 50년, 민음사, 1995년≫
여기서 오자키 히데키는 구와바라 다케오나 ‘사상의 과학’ 그룹의 독자론을 직접적으로 거론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오자키 히데키 자신이 독자론에 관심을 갖고 있는 몇 안 되는 비평가 중 한 사람임을 고려한다면, 문학 그 자체에 혼신의 노력을 기울이는 형태는 취하지 않았다는 발언은 ‘사상의 과학’ 그룹의 독자론이 문학론과 동떨어진 데에서 전개되었던 사실에 대한 확인이라고 받아들여도 좋을 것이다.≪마에다 아이, 일본 근대 독자의 정립, 이룸, 2003년≫

관련 어휘

비슷한말
효용-론(效用論)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