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매듭발음 듣기]
활용
매듭만[매듬만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노, 실, 끈 따위를 잡아매어 마디를 이룬 것.
매듭을 풀다.
매듭이 풀리다.
매듭을 짓다.
왜장은 한동안 신고를 한 뒤에 포승 매듭을 겨우 끌렀다.≪박종화, 임진왜란≫
짚신 매듭 사이로 싸늘한 냉기가 스며 올라온다.≪유현종, 들불≫
걸레로 마루를 훔치는 꼭지에게, 숭늉 한 그릇을 가져오라고 이르곤 졸라맨 넥타이 매듭을 늦추었다. 꼭지가 부엌에서 숭늉 대접을 날라 오자 그는 몇 모금으로 칼칼한 목 안을 적셨다.≪김원일, 불의 제전≫
가늘게 떨리는 왜장의 손은 포승줄 매듭을 얼른 풀지 못한다.≪박종화, 임진왜란≫
마침내 매듭이 모두 풀리자 사내가 관의 뚜껑을 흔들었다. 관의 뚜껑은 좀처럼 열리지 않았다.≪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역사 정보

(15세기~18세기)>듭(18세기~19세기)>매듭(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의 옛말인 ‘’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 이후 제2음절 이하의 ‘ㆍ’는 ‘ㅡ’로 변하였는데, 15세기의 ‘’도 이러한 변화를 겪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18세기에 와서야 ‘듭’과 같이 ‘ㆍ’가 ‘ㅡ로 변한 형태가 발견된다. 한편 근대국어 시기에 제1음절에서 모음 ‘ㆍ’가 음가를 잃고 ‘ㅏ’로 바뀌는 경향에 따라 이중모음 ‘ㆎ’도 이중모음 ‘ㅐ’[ay]로 변화하면서 ‘듭’도 ‘매듭’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이와 함께 이중모음 ‘ㅐ’가 단모음 [ɛ]로 변하면서 현대 국어의 ‘매듭’이 된 것이다.
표기된 것도 그러한 이유이다.
이형태/이표기 , 듭, 매듭
세기별 용례
15세기 : ()
 鐵蛇ㅣ 罪人 머리 가며 온  안해 다 긴 모 바며 ≪1459 월석 21:44ㄱ
몬져 女根애 큰 猛火ㅣ 나 後에 마다 猛火ㅣ 라 無間獄애 러디며 ≪1461 능엄 8:66ㄱ
17세기 : ()
疙疸 헌허믈렛 1690 역해 상:62ㄱ
紇 탑 실 1690 역해 하:3ㄱ
18세기 : (, 듭)
만일 이 입에 糢糊朦朧히 여 맛치 삼  머금음  가지 면 ≪1721 오륜 1:24ㄴ
扢搭 듭1790 몽해 상:44ㄴ
19세기 : (듭, 매듭)
放釋 방셕듭1895 국한 135
듭 蜂結 ≪1895 국한 140
轡環鐵 도래매듭1895 국한 79

다중 매체 정보(1)

  • 매듭

    매듭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