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머무르다발음 듣기]
활용
머물러[머물러발음 듣기], 머무르니[머무르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에/에게】
「001」도중에 멈추거나 일시적으로 어떤 곳에 묵다.
버스가 정류장에 머무르다.
할머니의 눈은 가끔 누워 있는 손자에게 머무르곤 했다.
여행 중에 작은 호텔에 며칠 머물렀다.
나는 고향집에 한 사나흘 머무르면서 쉴 생각이다.
춘원은 가족과 헤어져 자하문 밖 산장에 머무르면서 명상과 집필에 열중했다.≪정병욱 외, 한국의 인간상≫
더 이상 얻을 정보도 없는 데다가 그 꼴을 목격하고 나니 한시도 장터에 머물러 있고 싶지 않았다.≪조정래, 태백산맥≫
웅보도 더 이상 산막에 머물러 있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곧 초막 밖으로 나갔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머믈다(15세기~19세기)>머물다(17세기~19세기)>머무르다(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머무르다’의 옛말인 ‘머믈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5세기의 ‘머믈다’는 ‘ㄷ, ㄴ’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머므-’로, 그외의 어미 앞에서는 ‘머믈-’로 나타난다. 근대 국어 시기에 ‘ㅁ’ 뒤에서 모음 ‘ㅡ’가 ‘ㅜ’로 변화하는 원순 모음화에 따라 17세기에는 ‘머물다’로 나타난다. 18세기 이후 모음 ‘ㅡ’가 추가되면서 3음절로 형태가 변화하여 ‘머무르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6세기 후반 이후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화함에 따라 ‘ㆍ’와 다른 모음 간의 혼동이 나타나기도 하였는데, 이로 인해 17세기의 ‘머몰다’는 ‘머믈다’의 제2음절 모음 ‘ㅡ’가 ‘ㅗ’로 나타난 것이다. 18세기의 ‘머믈ㄴ-’과 ‘머물ㄴ-’은 각각 ‘머믈다’와 ‘머물다’를 중철 표기 한 것이다. 18세기의 ‘머므르다’는 ‘머믈다’가 3음절로 형태가 변화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것이다. 16세기 후반 이후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화하는 현상에 따라 나타난 ‘ㆍ’와 ‘ㅡ’의 혼동으로 인하여 18세기에는 ‘머므르다’의 제3음절 모음 ‘ㅡ’가 ‘ㆍ’로 나타난 ‘머므다’와 ‘머무르다’의 제3음절 모음 ‘ㅡ’가 ‘ㆍ’로 나타난 ‘머무다’가 나타난다.
이형태/이표기 머믈-, 머므-, 머몰-, 머믈ㄴ-, 머물-, 머물ㄴ-, 머므르-, 머므-, 머무-, 머무르-
세기별 용례
15세기 : (머믈-, 머므-)
虛空 中에 니며 머믈며 안며 누며 ≪1447 석상 21:37ㄱ
住 머므러 이실씨라 ≪1459 월석 1:月釋序1ㄴ
머므디 아니닌 일후미 客이오 머므닌 일후미 主人이니 ≪1461 능엄 1:105ㄴ
16세기 : (머믈-, 머므-)
머믈  佪 머믈 회 ≪1575 천자-광 42ㄱ
袞이 혼자 머므러 나가디 아니거늘 ≪1518 번소 9:73ㄱ
前後에 언메나 오래 머므다1510년대 번노 상:15ㄱ
17세기 : (머믈-, 머므-, 머몰-, 머물-)
졋어미 婦로 더브러 室中에 머믈고1632 가언 4:19ㄴ
더운 비예  저즌 긔운이 머므렛고1632 두시-중 3:12ㄱ
겨 올마 삭녕 고울 머므더니 ≪1617 동신속 충1:43ㄴ≫
막대 지여 다시 머모로라1632 두시-중 15:18ㄱ
後에 오  니 엇졔 머물리오1632 두시-중 11:18ㄴ
18세기 : (머믈-, 머므-, 머믈ㄴ-, 머물-, 머물ㄴ-, 머므르-, 머므-, 머무-, 머무르-)
문 밧긔 수레 녀흔 셔 머믈기 쳥 허락니라 ≪1758 종덕 상:25ㄴ
이 齋室의 머므러 이 이 一倍호니 ≪1756 어훈 2ㄴ
우 머므 이 이 張月仙과 李雲卿이라 ≪1721 오륜전비 1:4ㄴ
닐너 오 내 함 가면  일우디 못리라 고 머믈너 잇더니 ≪1797 오륜 충:72ㄴ
여러 쟝수들을 머물라 여 두 편의 버러 셰오다 ≪1774 삼역 2:10ㄴ
어복과 어공의 슈용 거슨 머물너 별진을 게 고 ≪1788 유함경도윤음 3ㄱ
쉰 낫 복차 네 머므르라1795 노언-중 하:67ㄱ
공이 잔을 머므고 이 말을 닐오니 ≪1758 종덕 하:41ㄴ
일즉 의 머무지 아니여시니 ≪1777 명의 권수상:15ㄱ-15ㄴ
곳  사도 머무르지 아니케 쟈 ≪1765 청노 2:23ㄴ
19세기 : (머믈-, 머므-, 머믈ㄴ-, 머물-, 머물ㄴ-, 머므-, 머무-, 머무르-)
졀의 보여 머믈게 고 ≪1852 태상 4:57ㄴ
산모통이에 머므러1892 성직 1:62ㄱ
드여 녯 머므던  옴겨 물을 더옥 멀니 떠나니라 ≪1892 성직 6:83ㄱ
부모 업 맛들은 젼례에 벅벅이 머믈너 잇게 고 ≪1883 이언 4:5ㄱ
너 권여 이비소에 머물게 니 ≪1887 성전 디모데전서 1:3
오래 그 따희 머물너 계심으로 ≪1892 성직 7:71ㄱ
엇지 야 머므지 아니다 ≪1892 성직 1:63ㄴ
텬쥬ㅣ 악인을 용납야 머무심은 이 션인의 공덕을 더으려 심이니 ≪1892 성직 2:55ㄴ
머무르다 留住 ≪1895 국한 111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