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무ː

- 품사
- 「명사」
- 분야
-
『식물』
- 학명
- Raphanus sativus
- 「002」십자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60~100cm이며, 잎은 깃 모양으로 뿌리에서 뭉쳐나고 뿌리는 둥글고 길다. 뿌리는 잎과 함께 식용하며 비타민, 단백질의 함유량이 많아 약용하기도 한다. 중앙아시아가 원산지로 아시아, 유럽 등지의 온대에서 많은 품종이 재배된다.
- 배가 고픈 나머지 우리는 밭에 있는 무를 뽑아 먹었다.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무꾸(강원, 경북), 무끼(강원, 경상, 충청, 평북, 함경, 중국 길림성, 중국 흑룡강성), 무수(강원, 경기, 경상, 전라, 제주, 충청, 함경), 뭉우(강원), 미우(강원, 경기, 황해), 지래-무(강원), 지래-무꾸(강원), 무유(경기, 황해), 뮈(경기, 황해), 무시-뿌리(경남), 무구(경북), 무시(경상, 전라), 무시-뿌랭기(전라), 무시-뿌랭이(전라), 넘피(제주), 놈삐(제주), 미(제주), 무꼬(충북), 뭉이(평북), 묶(함경), 미끼(함경), 무끄(함북, 중국 길림성), 무스(함북), 무깨(황해), 무이(황해), 뮈유(황해), 뮤(황해), 미유(황해)
역사 정보
무(15세기~16세기)>무우(16세기~20세기)>무(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무’의 옛말인 ‘무’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났다. 15세기 ≪금강경삼가해≫(1482)에 나타난 ‘蘿蔔 이라’의 예를 보면 ‘무’는 본래 ‘무/ㅇ’의 이형태 교체를 하였던 것으로 추정되나, 같은 시기의 ≪분류두공부시언해≫(1481)에 ‘무는’의 예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이미 15세기에 이형태 ‘ㅇ’이 사라지는 단계였음을 알 수 있다. 16세기에 자음 ㅿ이 소멸함에 따라 ‘무’는 ‘무우’로 변화하였다. ‘무우’ 형태는 20세기까지도 유지되었는데, 1988년 한글맞춤법 개정을 하면서 ‘무우’의 준말인 ‘무’를 단일 표준어로 결정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무, ㅇ, 무우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관용구·속담(1)
- 속담무 밑동 같다
- 도와주는 사람이 없이 홑지고 외로운 처지임을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