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맏

- 활용
- 맛만[만만

- 품사
- 「명사」
- 「001」음식 따위를 혀에 댈 때에 느끼는 감각.
- 맛이 달콤하다.
- 맛이 쓰다.
- 맛이 맵다.
- 맛이 없다.
- 맛을 내기 위하여 화학조미료를 지나치게 많이 쓰는 것은 좋지 않다.
- 냉면의 맛을 돋우려고 겨자를 넣었다.
- 김치를 푹 익혀 맛을 들이다.
- 술이 맛이 들어 제법 마실 만하다.
- 앵두가 맛이 들었다.
- 매운탕은 식으면 맛이 떨어진다.
- 여름에는 음식이 상해서 맛이 가는 경우가 많다.
- 기차 안에서 졸깃졸깃하고 짭짤한 주먹밥의 맛은 기가 막힌 것이었다.≪김영희, 아이를 잘 만드는 여자≫
- 민물 게는 씨가 말라 게장 맛을 모르는 요새 사람하고는 안 통하는 얘기지만….≪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 만화는 밥 생각이 없었으나 이것저것 반찬 맛을 보면서 밥숟갈을 뜨는 바람에, 밥 한 그릇을 쉽게 비우고 말았다.≪문순태, 피아골≫
역사 정보
맛(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맛’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18세기에 제1음절 모음 ‘ㆍ’가 ‘ㅏ’로 변화함에 따라 ‘ㆍ’와 ‘ㅏ’의 표기가 혼동되기도 하였는데, 19세기의 ‘’은 이러한 경향을 반영한 표기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맛,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3)
- 관용구맛(을) 들이다
- 좋아하거나 즐기다.
- 아편은 한번 맛을 들이면 끊기가 쉽지 않다.
- 속담맛이 좋으면 넘기고 쓰면 뱉는다
- 옳고 그름이나 신의를 돌보지 않고 자기의 이익만 꾀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 ‘쓰면 뱉고 달면 삼킨다’ ‘추우면 다가들고 더우면 물러선다’
- 속담맛 좋고 값싼 갈치자반
- 한 가지 일이 두 가지로 이롭다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