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무너지다

- 활용
- 무너지어[무너지어




- 품사
- 「동사」
- 「001」쌓여 있거나 서 있는 것이 허물어져 내려앉다.
- 다리가 무너지다.
- 홍수로 제방이 무너지다.
- 깎아 버린 채 방치했던 산이 물기에 젖으며 무너져 가고 있었다.≪한수산, 유민≫
- 그 정 처사가 죽고 보니 황제는 마치 삶의 토대가 송두리째 무너져 내린 기분이었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믈어디다(15세기~17세기)>믈허디다(16세기~17세기)>믄허디다(17세기~18세기)>문허디다(17세기~18세기)>문어디다(17세기~18세기)>문어지다(19세기)>무너지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무너지다’의 옛말인 ‘믈어디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원인은 정확히 규명할 수 없으나 15세기의 ‘믈어디다’는 16세기에 와서 제2음절의 첫소리에 ‘ㅎ’이 첨가된 ‘믈허디다’로 나타난 이후 17세기에는 제1음절의 말음 ‘ㄹ’이 ‘ㄴ’으로 바뀌어 ‘믄허디다’가 되었다. 17세기에 ‘ㅁ, ㅂ, ㅍ’ 아래 있는 모음 ‘ㅡ’가 ‘ㅜ’로 바뀌는 원순모음화가 일어남에 따라 ‘믄허디다’도 17세기에 ‘문허디다’가 되었다. 이와 함께 ‘ㄴ’과 모음 사이에 있는 ‘ㅎ’이 탈락하면서 ‘문어디다’로 나타난 것도 17세기였다. 한편 18세기에는 ‘ㅣ’ 모음 앞에 오는 ‘ㄷ, ㅌ’이 ‘ㅣ’ 모음의 영향으로 ‘ㅈ, ㅊ’으로 변하는 구개음화가 일어남에 따라 ‘문어디다’도 19세기에 ‘문어지다’가 되었다. 이에 앞에 18세기에 ‘문허디다’에서 구개음화를 경험한 ‘문허지다’가 확인되기도 한다. 19세기에 나타난 ‘문어지다’가 연철 표기되어 ‘무너지다’로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15세기의 ‘믈어디다’는 ‘므르-(軟)’에 연결어미 ‘-어’, “떨어지다”의 의미를 갖는 동사 ‘디-’가 결합한 것이다. ‘므르-’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믈ㅇ-’과 같이 유성후두마찰음 ‘ㅇ’[ɦ]과 함께 나타나기 때문에 연철 표기 되지 않고 ‘믈어디다’로 나타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믈어디다, 믈허디다, 믄허디다, 문허디다, 문어디다, 믄허지다, 문허지다, 문어지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