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머루

- 품사
- 「명사」
- 분야
-
『식물』
- 「001」포도과의 왕머루, 까마귀머루, 새머루, 개머루, 털개머루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머루-나무
- 지역어(방언)
- 멀구(강원, 경상, 전라, 평안, 함경, 황해), 멀기(강원, 경상, 제주, 충북, 평남, 함경, 황해, 중국 길림성, 중국 흑룡강성), 멀루(강원), 멸구(강원, 경기, 경상, 전라, 충북, 평안, 함경, 황해), 몰기(강원), 모루(경기, 경북, 전남, 충청), 산-모루(山모루)(경기), 땡꽐(경남), 머개(경남), 머구(경남), 머래(경남, 제주, 평남, 황해), 머래-딸(경남), 모래(경남), 몰개(경남), 몰래(경남), 밀구(경남, 전라, 중국 길림성), 버디(경남), 보대(경남), 산-보두(山보두)(경남), 뚝-멀구(경북), 멀개(경북), 미루(경북), 산-멀구(山멀구)(경북), 새-멀구(경북), 머리(경상, 전남, 제주, 충북, 평남), 멜구(경상, 전북), 뽀두(경상), 산-포두(山포두)(경상, 충북), 개-포도(개葡萄)(전남), 머름(전남), 명구(전남), 몰(전남), 몰구(전남), 정금(전남), 머우(전북), 메루(전북), 갓-멀뤼(제주), 갓-멀리(제주), 곳-머뤼(제주), 머뤼(제주), 머취(제주), 멀뤼(제주), 멀리(제주), 산-멀리(山멀리)(제주), 중당-멀리(제주), 멀귀(함경), 머레(황해), 멀래(황해)
역사 정보
멀위(16세기~18세기)>머뤼(18세기)>머루(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머루’의 옛말인 ‘멀위’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났다. 16세기에 ‘멀위’가 ‘머뤼’로 연철되지 않은 것은 두 번째 음절의 초성 ‘ㅇ’이 후두 유성마찰음 [ɦ]이었기 때문이다. 16세기 이후에 후두 유성마찰음 ㅇ[ɦ]이 사라지면서 이에 따라 ‘멀위>머뤼’로 변화하게 되었다. 다만 문헌상으로는 ‘멀위’가 18세기까지도 보이고, ‘머뤼’는 18세기에 비로소 나타나고 있다. 18세기에 ‘머뤼’의 제2음절 이중모음 ‘ㅟ’에서 반모음 y가 탈락하면서 오늘날과 같은 ‘머루’ 형태가 나타나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멀위, 머뤼, 머루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