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맨드리]
품사
「명사」
「001」옷을 입고 매만진 맵시.
맨드리가 있다.
맨드리가 곱다.
그는 인물보다 맨드리가 쓰레기꾼 축에 섞이기는 아까웠다.≪현덕, 남생이≫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리(15세기)>맨드리(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맨드리’의 옛말인 ‘리’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리’는 “만들다”의 옛말인 ‘-’과 접미사 ‘-이’가 결합한 형태를 연철 표기 한 것이다. 16세기 후반에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화하고 18세기 이후 제1음절 모음 ‘ㆍ’가 ‘ㅏ’로 변화하는 경향에 따라 ‘리’의 제2음절 모음 ‘ㆍ’가 ‘ㅡ’로 변화하고 제1음절 모음 ‘ㆍ’는 ‘ㅐ’로 변화하여 19세기경에는 ‘맨드리’로 나타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19세기 문헌에서 ‘맨드리’는 확인되지 않고 ‘맨두리’만 확인된다. 그러나 ‘맨드리’가 ‘맨두리’에서 변화하였다고 볼 때 ‘ㅜ>ㅡ’의 변화를 겪어야 하나 이러한 모음 변화는 일반적이지 않다. 따라서 19세기의 ‘맨두리’는 ‘맨드리’의 ‘ㅡ’를 ‘ㅜ’로 잘못 표기한 것으로 파악하고 19세기경부터 ‘맨드리’가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리, 맨두리
세기별 용례
15세기 : (리)
그 각시 뎌른 리 고 ≪1460년경 삼강-런던 열:9
19세기 : (맨두리)
맨두리 樣子 ≪1895 국한 11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