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이태

- 품사
- 「명사」
- 「001」두 해.
- 그가 집과 세간과 있는 것을 다 팔면 이태 동안은 굶어 죽지 아니하고 살아갈는지 모른다.≪이광수, 흙≫
- 그는 이태 만에 돌아왔는데, 신수도 훤해졌거니와 전대 속엔 몇 닢의 은자(銀子)까지 들어 있었다.≪박완서, 미망≫
역사 정보
읻(15세기)>잇(18세기)>이태(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이태’의 옛말인 ‘읻’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읻’는 “다음”을 뜻하는 ‘읻’과 “년”을 뜻하는 ‘’가 결합된 것이다. 18세기 문헌에 나타난 ‘잇’는 근대 국어 시기에 음절 말에서 ‘ㅅ’과 ‘ㄷ’의 대립이 사라지면서 음절 말의 ‘ㄷ’을 ‘ㅅ’으로 표기하던 경향의 역작용으로서 원래의 ‘ㅅ’을 ‘ㄷ’으로 표기한 과도 교정으로 나타난 어형이다. ‘읻’는 제1음절의 종성 ‘ㄷ’과 제2음절의 초성 ‘ㅎ’이 만나 ‘ㅌ’으로 축약되고 근대 국어 시기에 ‘ㆎ’가 ‘ㅐ’로 바뀌는 변화를 거쳐 20세기 이후 ‘이태’가 되어 현재까지 이어진다. |
---|---|
이형태/이표기 | 읻, 잇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