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수자해졷]
- 활용
- 수자해좆이[수자해조지], 수자해좆만[수자해존만]
- 품사
- 「명사」
- 분야
-
『식물』
- 학명
- Gastrodia elata
- 「001」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잎이 없고 긴 타원형의 덩이줄기가 있다. 6~7월에 엷은 황갈색 꽃이 줄기 끝에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는다. 전초를 강장제, 신경 쇠약, 현기증 및 두통에 사용하며, 한국·일본·대만·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역사 정보
슈자좃(17세기)>슈좃(18세기~19세기)>수자해좆(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수자해좆’의 옛말인 ‘슈자좃’은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슈자좆’은 ‘슈자’와 ‘좆’으로 분석될 수 있는데 여기서 ‘슈자’가 무엇인지는 파악하기 어렵다. ‘슈자’는 ‘슈자좆’에서만 나온다. 제1음절의 ‘슈’는 근대 국어 후기에 ‘ㅅ’ 뒤에서 이중모음 ‘ㅑ, ㅕ, ㅛ, ㅠ’ 등이 반모음 탈락으로 단모음화 하는 현상에 따라 ‘수’가 된 것이다. 16세기 후반부터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하고, 18세기에는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하였다. 18, 19세기에 보이는 ‘슈좃’은 ‘ㆍ’의 변화 경향의 역작용으로 나타난 표기 경향을 보여 주는 것이다. 제3음절의 ‘ㆎ’는 15세기에 이중모음 ‘ㆎ[ʌy]’이었다. 모음 ‘ㆍ’가 본래 소리를 잃어 모음 ‘ㆍ’와 모음 ‘ㅏ’가 같은 소리를 나타내게 되어 ‘ㆎ’[ʌy]와 ‘ㅐ[ay]’의 소리도 같아지고 이중모음 ‘ㅐ[ay]’가 단모음 ‘ㅐ[ɛ]’로 변하여 ‘해’로 나타난 것이다. 제4음절의 ‘좃’은 7종성 원칙에 따라 ‘좆’을 ‘좃’으로 표기한 것으로 음운의 변화가 아니라 음절 말에서 ‘ㅈ’이 ‘ㅅ’으로 발음된 것을 표기에 반영하여 나타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슈자좃, 슈좃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