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북

- 활용
- 북만[붕만

- 품사
- 「명사」
- 분야
-
『음악』
- 「005」타악기의 하나. 나무나 쇠붙이 따위로 만든 둥근 통의 양쪽 마구리에 가죽을 팽팽하게 씌우고, 채로 가죽 부분을 쳐서 소리를 낸다.
- 북을 울리다.
- 북을 치다.
- 신명을 돋우려고 더욱 요란하게 북과 징을 치건만, 사람들은 가벼운 대나무 창도 무거운 듯 질질 끌며 그저 묵묵히 따라올 뿐이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붚(15세기~18세기)>붑(17세기~19세기)>북(17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북’의 옛말인 ‘붚’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붚’은 8종성법에 따라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결합하거나 단독으로 실현될 때에는 ‘붑’으로 나타났다. 17세기에는 ‘붑을’과 같은 예에서 볼 수 있듯이 어간말 자음이 ‘ㅍ>ㅂ’으로 바뀐 ‘붑’이 등장하였고, 다시 어간말 자음이 ‘ㄱ’으로 바뀐 ‘북’ 형태가 등장하였다. ‘붚’은 첫소리와 끝소리가 모두 양순음이고 모음도 ‘ㅜ’로 원순성을 가진 것이어서 동일한 성질의 소리가 연속되므로 끝소리를 원순성이 없는 ‘ㄱ’으로 교체하는 이화 현상을 겪게 된 것이다. ‘북’ 형태가 등장한 이후에도 18세기까지는 ‘붑’ 형태도 공존하였다. 한편 18세기에 나타난 ‘븍, 븝’은 17세기에 일어난 원순모음화를 의식한 과도 교정 표기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붚, 붑, 북, 븍, 븝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관용구·속담(4)
- 관용구북 치듯
- 무엇을 함부로 때리거나 두드리다.
- 아내는 무엇이 불만인지 빨랫방망이로 빨래를 북 치듯 두드렸다.
- 속담북과 아이는 칠수록 소리가 커진다
- 우는 아이를 때리면 더 크게 운다는 뜻으로, 잘 달래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북은 칠수록 맛이 난다
- 무슨 일이나 하면 할수록 신이 나고 잘된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북은 칠수록 소리가 난다
- 북은 힘을 주어 세게 치면 칠수록 요란한 소리가 난다는 뜻으로, 다투면 다툴수록 그만큼 손해만 커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