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뱀ː딸기]
- 품사
- 「명사」
- 분야
-
『식물』
- 학명
- Duchesnea chrysantha
- 「001」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땅 위로 뻗으며 거친 털이 있고 마디마다 뿌리를 내린다. 잎은 어긋나고 세 쪽의 달걀 모양의 잔잎으로 되어 있으며 잎자루가 길다. 열매는 딸기와 비슷한 삭과(蒴果)로 붉게 익으며 식용하지 않는다. 들이나 길가에서 나는데 한국, 일본, 중국, 인도 등지에 분포한다.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개-딸(강원), 개미-딸구(강원), 논-딸구(강원), 물-따구(강원), 물-딸루(강원), 배무-딸구(강원), 배미-딸구(강원), 뱀-딸구(강원, 경기, 충북), 중-딸구(강원), 뱀-따올기(경기), 뱀-따울귀(경기), 뱀-따울기(경기), 뱀-딸귀(경기), 뱀애-딸기(경기), 깨미-딸(경남, 전남), 배미-딸(경남), 뱀이-딸(경남), 구렝이-딸(전남), 깨미-때왈(전남), 배암-때깔(전남), 배얌-때깔(전남), 뱀-딸(전남), 뱀-때깔(전남), 뱀-때왈(전남), 비얌-딸(전남), 비얌-때깔(전남), 비얌-때왈(전남), 충-딸(전남), 개미-딸(전라), 배암-딸(전라), 배암-때왈(전라), 배얌-때왈(전라), 비암-딸(전라, 충북), 비암-때깔(전라), 비암-때왈(전라), 비암-따왈(전북), 비암-딸광(전북), 비암-딸기(전북), 게미-탈(제주), 게여미-탈(제주), 게염지-탈(제주), 게예미-탈(제주), 베염-탈(제주), 아야머리-탈(제주), 아이모리-탈(제주), 배암-딸구(충남), 배암-딸기(충남), 배암-때꿜(충남), 뱜-딸기(충남), 배얌-딸(충북), 배얌-딸구(충북), 뱀-따울(충북), 뱜-딸(충청), 뱜-딸구(충청)
- 옛말
- 얌-기
역사 정보
얌기(15세기~16세기)>얌기(19세기)>뱀딸기(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뱀딸기’의 옛말인 ‘얌기’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뱀’의 뜻인 ‘얌’과 ‘딸기’의 뜻인 ‘기’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단어이다. ‘뱀’의 옛말은 ‘얌’인데 세기를 거치면서 ‘암, 얌, 얌, 암, 얌’ 등으로도 표기되었다. ‘얌’은 이런 이표기 중의 하나이다. ‘딸기’는 옛말이 ‘기’이지만 ‘기, 기, 기’ 등 여러 가지 이표기가 있었는데 19세기에 보이는 ‘얌기’의 ‘기’는 이러한 이표기 중의 하나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얌기, 얌기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2)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