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들치다발음 듣기]
활용
들치어[들치어발음 듣기/들치여발음 듣기](들쳐[들처발음 듣기]), 들치니[들치니]
품사/문형
「동사」 【…을】
「001」물건의 한쪽 끝을 쳐들다.
누군가가 문득 천막 포를 들치고 그들의 대화 속에 느닷없이 끼어들었다.≪홍성원, 육이오≫
무슨 일인가 싶어 천막을 들치고 나오자 청년들이 우르르 둘러싸더라는 것이었다.≪한수산, 부초≫
수의사는 신발을 끌고 나오더니 발을 들치고 내다보았다.≪김정한, 축생도≫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들티다(16세기~19세기)>들치다(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들치다’의 옛말인 ‘들티다’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들치다’는 “들어올리다”의 의미인 ‘들-’과 사동 접미사 ‘-티-’가 결합한 것이다. 근대 국어 시기에 ‘ㄷ, ㅌ’이 ‘ㅣ’나 반모음 ‘ㅣ’ 앞에서 ‘ㅈ, ㅊ’으로 변하는 구개음화의 영향으로, 18세기에 ‘들치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들티다, 들치다
세기별 용례
16세기 : (들티다)
들틸 두 틸 두 擻 들틸 수 틸 수 ≪1576 신합 하:9ㄱ
들틸 진 ≪1576 신합 하:18ㄴ
17세기 : (들티다)
가온셔 도기 갓갑거 낭션으로  버퇴오며 창을 들티고1612 연병 2ㄴ
18세기 : (들티다, 들치다)
말애 입시울을 들티디 말며 ≪1737 여사 2:2ㄱ
젼됴에 포은이 도을 들쳐 히기 젼에 녜의 디 못니 ≪1761 경문 45ㄴ
19세기 : (들티다, 들치다)
뉘 즐겨 사이 제 허물을 들쳐 냄을 용납며 ≪1892 성직 3:99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