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대ː장장이

- 품사
- 「명사」
- 「001」쇠를 달구어 연장 따위를 만드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 대장장이는 이글이글 타는 참나무 숯불에 쇠를 달구고 힘찬 망치질로 날을 벼리었다.≪오정희, 유년의 뜰≫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대-쟁이(강원, 경기), 대장-꾼(강원, 충북), 대장-자이(강원, 전북), 베림-쟁이(강원), 승냐이(강원), 승냥-쟁이(경기, 충남), 대정-쟁이(경남), 배태이(경남), 뻰수(경남), 성냥-재이(경남), 성양-재이(경남), 당양-자이(경북), 대정(경북, 전북, 충남), 대정이(경북), 배림-꾼(경북), 베름-재이(경북), 베름-쟁이(경북), 베림-재이(경북), 불매-재이(경북), 불무-쟁이(경북), 성장-재이(경북), 펜숙(경북), 풀미-쟁이(경북, 전라), 핀수-재이(경북), 핑수(경북), 대장-재이(경상), 불매-쟁이(경상), 불미-쟁이(경상, 제주), 성냥-쟁이(경상, 전라, 충북), 팬수(경상), 펜수-재이(경상), 핀수(경상), 성낭-꾼(전남), 성낭-재이(전남), 성낭-쟁이(전남), 성냥-꾼(전남), 썽냥-깨이(전남), 야-쟁이(冶쟁이)(전남), 야장-아치(冶匠아치)(전남), 불미-재이(전라), 성녕-재비(전북), 성녕-쟁이(전북), 불매-대장(제주), 불미-대장(제주), 불미-와찌(제주), 쒜처리(제주), 철-쟁이(鐵쟁이)(제주), 철-젱이(鐵젱이)(제주), 서냔-장사(충남), 성냥-장사(충남), 얘재(함북)
- 옛말
- 플무-아치
관용구·속담(1)
- 속담대장장이 집에 식칼이 놀고 미장이 집에 구들장 빠진 게 삼 년 간다
- 칼을 만드는 대장장이의 집에 오히려 식칼이 없고, 미장이 집 구들장이 오히려 빠져 있다는 뜻으로, 어떠한 물건이 흔하게 있을 듯한 곳에 의외로 많지 않거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대장의 집에 식칼이 논다’ ‘짚신장이 헌 신 신는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