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얻ː따발음 듣기]
활용
얻어[어ː더발음 듣기], 얻으니[어ː드니발음 듣기], 얻는[언ː는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에서/에게서 …을】
「001」((‘…에서/에게서’ 대신에 ‘…으로부터’가 쓰이기도 한다)) 거저 주는 것을 받아 가지다.
거실에 놓을 의자 하나를 이웃집에서 얻었다.
신철이는 어정어정 걸으며 어제저녁에 밤송이 동무에게서 얻어 두었던 신문을 포켓에서 꺼내 들었다.≪강경애, 인간 문제≫
달이는 정국으로부터 얻은 꽃주머니를 숙희에게 주었다.≪김동리, 달≫
영칠이는 담배 한 개비를 얻어 느긋하게 물고 피워댄다.≪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윤구는 곁에 섰던 감시병이 담뱃불을 얻으러 앞 감시병 쪽으로 갔다.≪황순원, 나무들 비탈에 서다≫
박태영은 유복하게 사는 집에 들러 겨울 내의 한 벌과 새 운동화 한 켤레를 얻을 수가 있어 흐뭇했다.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읃다(강원)
옛말
싣다

역사 정보

얻다(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얻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얻다’로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이형태/이표기 얻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얻다))
衆生도 다 고 어더  조초 이 긔호리라 ≪1447 석상 9:5ㄱ
16세기 : ((얻다))
내 너 위야 님자 어더 다 로마 ≪1510년대 번노 상:69ㄴ
17세기 : ((얻다))
오계알  낫과 디룡이 고 쟉고 사니 어더 긔 알해 죠고만 구멍을 둛고 디룡을 녀코 ≪1608 언두 상:8ㄴ
18세기 : ((얻다))
내 졍히  秀才 어더 가 나 차 代筆코져 더니 뎌 어드니 ≪1721 오륜전비 2:32ㄱ
19세기 : ((얻다))
아 스믈 다 사이 잇더니 그 셩 어더 벼 이 열 네히러라 ≪1832 십구 1:8ㄱ

관용구·속담(10)

속담얻기 쉬운 계집 버리기 쉽다
쉽게 얻은 것은 또한 버리기도 쉽다는 말.
속담얻어 온 쐐기
남의 집에 와 거드는 일도 없이 먹기만 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얻어 온 장 한 술 더 뜬다
제게 없어서 겨우 얻어다 놓은 것을 눈치 없이 축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얻은 가래로 식전 보 막기
숨 가쁘게 급히 하여야 하는 일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얻은 것이 잠방이라
남에게 얻은 것이 그리 신통할 것이 없다는 말.
속담얻은 도끼나 잃은 도끼나
잃어버린 물건이나 새로 얻은 물건이나 똑같아서 우열이나 이해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얻은 떡이 두레 반
수고하지 아니하고 얻은 것이 애써서 만든 것보다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얻은 이 타령이냐
서로 짝하여 다님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속담얻은 장 한 번 더 떠먹는다
남의 집 음식이 더 맛있어 보인다는 말.
속담얻은 죽에 머리가 아프다
변변치 못한 것이나마 남의 것을 얻어 가지게 되면 마음에 짐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