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얻ː따

- 활용
- 얻어[어ː더



- 품사/문형
- 「동사」 【…에서/에게서 …을】
- 「001」((‘…에서/에게서’ 대신에 ‘…으로부터’가 쓰이기도 한다)) 거저 주는 것을 받아 가지다.
- 거실에 놓을 의자 하나를 이웃집에서 얻었다.
- 신철이는 어정어정 걸으며 어제저녁에 밤송이 동무에게서 얻어 두었던 신문을 포켓에서 꺼내 들었다.≪강경애, 인간 문제≫
- 달이는 정국으로부터 얻은 꽃주머니를 숙희에게 주었다.≪김동리, 달≫
- 영칠이는 담배 한 개비를 얻어 느긋하게 물고 피워댄다.≪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 윤구는 곁에 섰던 감시병이 담뱃불을 얻으러 앞 감시병 쪽으로 갔다.≪황순원, 나무들 비탈에 서다≫
- 박태영은 유복하게 사는 집에 들러 겨울 내의 한 벌과 새 운동화 한 켤레를 얻을 수가 있어 흐뭇했다.
역사 정보
얻다(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얻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얻다’로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
---|---|
이형태/이표기 | 얻다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0)
- 속담얻기 쉬운 계집 버리기 쉽다
- 쉽게 얻은 것은 또한 버리기도 쉽다는 말.
- 속담얻어 온 쐐기
- 남의 집에 와 거드는 일도 없이 먹기만 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얻어 온 장 한 술 더 뜬다
- 제게 없어서 겨우 얻어다 놓은 것을 눈치 없이 축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얻은 가래로 식전 보 막기
- 숨 가쁘게 급히 하여야 하는 일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얻은 것이 잠방이라
- 남에게 얻은 것이 그리 신통할 것이 없다는 말.
- 속담얻은 도끼나 잃은 도끼나
- 잃어버린 물건이나 새로 얻은 물건이나 똑같아서 우열이나 이해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얻은 떡이 두레 반
- 수고하지 아니하고 얻은 것이 애써서 만든 것보다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얻은 이 타령이냐
- 서로 짝하여 다님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속담얻은 장 한 번 더 떠먹는다
- 남의 집 음식이 더 맛있어 보인다는 말.
- 속담얻은 죽에 머리가 아프다
- 변변치 못한 것이나마 남의 것을 얻어 가지게 되면 마음에 짐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