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입쑬

- 품사
- 「명사」
- 「001」포유류의 입 가장자리 위아래에 도도록이 붙어 있는 얇고 부드러운 살.
- 앵두 같은 입술.
- 두툼한 입술.
- 입술이 트다.
- 입술을 맞추다.
- 입술이 부르트다.
- 결국 해갈은 고사하고 입술 축이기도 모자라는 알량한 비였다.≪윤흥길, 완장≫
- 주인 여자는 말주변이 신통치 못한지 무슨 말인가를 쏘아 댈 듯하다가 입술만 바르르 떨며 이내 돌아서서 도로 부엌으로 들어가 버린다.≪이문희, 흑맥≫
- 다음 순간 크게 소리 내어 웃던 노인은 길상이 귀에 입술을 바싹 갖다 붙였다.≪박경리, 토지≫
- 핏기 없는 입술을 반쯤 벌리고서 엄마처럼 한숨을 쉬었다.≪이동하, 우울한 귀향≫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입-솔(강원, 경남, 전라, 충청, 중국 길림성), 입-수불(강원), 입-수얼(강원), 입-수월(강원), 입-슬(강원, 경상, 충청, 중국 길림성, 중국 흑룡강성), 입-슭(강원), 입숙(강원, 황해), 입숡(강원), 입-살(경기), 입-설(경기, 경북, 전라, 충청, 평안, 중국 길림성), 입-서리(경남, 전라), 입-소거리(경남), 입-소고리(경남), 입-소리(경남, 전라), 입-소부리(경남), 입-수구리(경남), 입-수꾸리(경남), 입-수리(경남), 입-수부리(경남), 입-숨(경남), 입-스리(경남), 입-스부리(경남), 입시울(경남), 입-사베이(경북), 입-서벌(경북, 충북), 입-서불(경북, 충북), 입-수거리(경북), 입-수굴(경북), 입-수워리(경북), 입-시버리(경북), 입-시볼(경북), 입-시불(경북), 입-싸가리(경북), 입순(경북, 함북), 입-서볼(경상, 충북, 중국 흑룡강성), 입-서부리(경상, 중국 흑룡강성), 입-수버리(경상, 충북), 입-슐(경상), 입-시블(경상), 닙-바이(제주), 입-바우(제주), 입-바위(제주), 입-사우레기(제주), 입-사우리(제주), 입-세우리(제주), 입-수와리(제주), 입솔기(제주), 입술기(제주, 함경), 입-서레(충북), 입-서버리(충북), 입소보리(충북), 입수(평북), 입-녁(함경), 입-슌(함경), 입전(함경), 입-정(함남), 입-천(함남), 입-수늙(함북), 입-수니(함북), 입-슐기(함북), 입-저니(함북), 입-절기(함북), 입-줄기(함북)
- 옛말
- 입시울
역사 정보
입시울(15세기~19세기)>입시율(19세기)>입슐(20세기)>입술(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입술’의 옛말인 ‘입시울’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입시울’에서 제2음절의 모음 ‘ㅣ’의 영향으로 제3음절에 반모음 ‘ㅣ’가 첨가되어 19세기에 ‘입시율’이 나타난다. 이후 20세기에 제2음절과 제3음절이 한 음절로 축약되어 ‘입슐’이 된 이후 ‘입슐’의 ‘슈’가 ‘수’로 바뀌면서 현재에 이른 것이다. 15세기의 ‘입시울’은 ‘입’과 “邊”을 의미하는 ‘시욹’이 결합한 것이다. 15세기와 16세기 문헌에서 ‘입시욹’로 나타나지 않고 ‘ㄱ’이 사라진 ‘입시울’로만 나타나는 것은 이 시기의 중앙어에서는 어말의 ‘ㄱ’이 이미 탈락한 상태였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17세기와 19세기에 ‘입시욹’, ‘입슑’과 같이 말음절에 ‘ㄱ’을 가진 형태들이 나타나는데, 이들은 어말의 ‘ㄱ’을 유지하고 있는 방언형으로 판단된다. |
---|---|
이형태/이표기 | 입시울, 입시올, 입시욹, 입슈얼, 입슈월, 입슑, 입셜, 입시율, 입술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관용구·속담(5)
- 관용구입술에 침 바른 소리
- 겉만 번지르르하게 꾸미어 듣기 좋게 하는 말. <동의 관용구> ‘입에 침 바른 소리’
- 관용구입술을 깨물다
- 북받치는 감정을 힘껏 참다.
- 명희는 자기 자신에 대한 수치 때문에 비로소 입술을 깨문다. ≪박경리, 토지≫
- 속담입술에 침도 마르기 전에 돌아앉는다
- 서로 약속이나 다짐 따위를 하고 나서 금방 태도를 바꾸어 행동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입술에 침이나 바르지
- 속이 빤히 들여다보이게 거짓말을 하는 사람에게 그런 얕은 수작은 그만두라고 핀잔하는 말. <동의 속담> ‘혓바닥에 침이나 묻혀라’
- 속담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
-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어서 하나가 망하면 다른 하나도 망하게 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