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살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사람이나 동물의 뼈를 싸서 몸을 이루는 부드러운 부분.
살이 찌다.
살이 빠지다.
살을 빼다.
뺨은 제 같지 않게 감각이 없었으나 차가운 야기가 눈을 시게 했다.≪김원일, 불의 제전≫
둘이 좋아지낼 적엔 기부 어쩌고 갖은 치사스러운 아양 다 떨어 쇠고기 얻어 한 시절 엉덩이 앞뒤로 잘도 올리던 선배 격인 화심이와 길자 년이 이젠 한심이 구박하길 팥쥐 어멈 콩쥐 몰아세우듯 하였다.≪김주영, 이장 동화≫

역사 정보

(15세기~18세기)>(17세기~19세기)>살(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살’의 옛말인 ‘’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5세기의 ‘’은 모음이나 ‘ㄱ, ㄷ’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끝소리 ‘ㅎ’이 나타나지만, 그 밖의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이나 단독으로 쓰일 때에는 ‘ㅎ’이 탈락하는 ‘ㅎ 종성 체언’으로 ‘/’의 이형태 교체를 보였다. 17세기에 끝소리 ‘ㅎ’이 완전히 탈락하여 모음이나 ‘ㄱ, ㄷ’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도 ‘’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18세기에 어두 음절에서 모음 ‘ㆍ’가 ‘ㅏ’로 바뀜에 따라 19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살’ 형태가 나타나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 , 살
세기별 용례
15세기 : (, )
太子ㅣ 苦行 오래 샤 히 여위실 金色光 더옥 빗나더시다 ≪1447 석상 3:39ㄴ
 菩薩이 몸과 콰 손과 발와 妻眷과 子息과로 布施야 ≪1447 석상 13:19ㄴ
나 毒氣 예 이셔 굼굼히 알고 ≪1466 구방 하:80ㄱ
16세기 : (, )
 이러시 브즈러니 머기면 므슴 히 오디 아니리오 ≪1510년대 번박 22ㄱ
나 이니 내 모매 콰 가족과 왜니라 ≪1569 칠대 2ㄱ
부 ≪1527 훈몽 상:14ㄴ
17세기 : (, )
어미 사오나온 병 어덧거 긔 다리예  버혀 구긔   받오니 ≪1617 동신속 효2:4ㄴ≫
누니 正히 기프니 北녀그로셔 오매 콰 에 장 치우미 侵凌도다 ≪1632 두시-중 8:41ㄴ
 구렁 빗 간쟈이 九分이나 이 잇고 셕대 됴코 ≪1677 박언 상:56ㄱ
盖 곰 襲며 斂홈 과 몸을 간슈야 리홈을 主 거시라 부드럽고 ≪1632 가언 5:11ㄱ
혹 죵긔 되여 골졀의 나니 신이 허디오 우 돈니 비이 허디라 ≪1608 언두 하:51ㄴ
18세기 : (, )
劊子手 사의 흘 버히되 즐겨 이녁 흘 버히디 아니니 ≪1721 오륜전비 7:7ㄱ
뉴시 신명을 브르지디며 다리 을 베혀 쥭에 타드리니 다시 살앗다가 두만에 ≪1797 오륜 효:58ㄴ
곳 깁흔 어디르심과 두터온 덕이 과  협흡야 그럼일라 ≪1756 어훈 10ㄱ
19세기 : (, 살)
홍독게예 올녀 미러가며 아 다듬으면 이 올 반반고 고오니라 ≪1869 규합 23ㄴ
일일은 말국이 업쳐져 그 의 치 살이 졈졈 썩고 허여져 ≪1881 조군 23ㄴ

관용구·속담(12)

관용구살로 가다
먹은 것이 살이 되다.
  • 우리 선생님은 너무 바빠서 먹어도 살로 갈 새가 없을 것 같다.
관용구살을 깎고 뼈를 갈다
몸이 야윌 만큼 몹시 고생하며 애쓰다.
  • 살을 깎고 뼈를 가는 노력 없이 큰일을 이룰 수 없다.
관용구살을 떨다
몹시 무섭거나 격분하여 온몸을 떨다.
  • 그는 참을 수 없는 배신감에 살을 떨었다.
관용구살을 베여[떼여] 줄 것 같다
흔히 아부하는 태도가 자기의 살이라도 아까워하지 않고 베어 줄 것같이 사근사근하다.
관용구살을 붙이고 살다
어떤 곳을 근거지로 삼아 눌러살다.
  • 그 고장은 은퇴 후에 살을 붙이고 살고 싶을 만큼 평온한 곳이다.
관용구살(을) 붙이다
바탕에 여러 가지를 덧붙여 보태다.
  • 그는 떠도는 이야기에 살을 붙여 드라마 극본을 썼는데, 드라마가 그 이야기보다 더 유명해지고 말았다.
관용구살(을) 섞다
남녀가 성교(性交)하다.
  • 나는 혼자의 외로움에 한 사람과 살을 섞음으로써 그 외로움을 잊어 보려 했다. ≪김원일, 도요새에 관한 명상≫
관용구살을 에고 소금 치는 소리
따끔하고 신랄한 말.
관용구살(이) 깊다
몸의 어떤 부분에 살이 많이 붙어 있어서 살이 두껍다.
  • 창에 찔렸지만 다행히도 살이 깊어 크게 다치지 않았다.
관용구살이라도 베어 먹이다
제 몸의 살까지도 베어 먹일 만큼 알뜰히 보살펴 주다.
  • 그 아이는 비록 남의 아이지만 내 살이라도 베어 먹이고 싶을 정도로 예쁜 짓만 골라 한다.
속담살을 째고 소금을 치는 사람이다
남의 살을 째고 거기다가 소금을 칠 만큼 성질이 몹시 모질고 악착스러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살이 살을 먹고 쇠가 쇠를 먹는다
동포 형제나 가까운 이웃, 친척끼리 서로 해치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쇠가 쇠를 먹고 살이 살을 먹는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