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기어가다발음 듣기/기여가다발음 듣기]
활용
기어가[기어가발음 듣기/기여가발음 듣기], 기어가니[기어가니발음 듣기/기여가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으로】【…을】
「001」어떤 곳을 기어서 가다.
그는 아랫목으로 기어갔다.
어린애가 글 읽는 쪽으로 기어가면 침모는 노끈 맨 발을 당기곤 한다.≪한설야, 황혼≫
아기가 사람들을 번갈아가며 두리번대더니 아버지한테로 엉금엉금 기어갔다.≪박완서, 도시의 흉년≫
아프고 괴로워 위안이 필요할 때 그는 바삐 어머니의 무릎 위로 기어갑니다.≪김진섭, 인생 예찬≫
나는 다시 그런 염소 앞으로 엉금엉금 기어가 내빼려고 하는 염소의 목을 부둥켜안았다.≪손춘익, 작은 어릿광대의 꿈, 창작과 비평사, 1980년≫
그는 사람들이 눈치채지 못하게 마루를 살금살금 기어가고 있었다.
그는 우리에게 본때를 보인다는 식으로 아침마다 모래벌판 위를 기어가게 했고….≪황석영, 탑≫
나는 그곳까지 기어가 캄캄한 창살에 귀를 바싹 붙였다.≪김원일, 노을≫
방바닥을 꼼질꼼질 기어가는 아주 작은 곤충 한 마리가 우연히 눈에 띄었다.≪윤흥길, 묵시의 바다, 문학 사상사, 1987년≫

역사 정보

긔여가다(15세기~19세기)>기어가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기어가다’의 옛말인 ‘긔여가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긔여가-’는 “기다”를 의미하는 ‘긔-’에 어미 ‘-어’가 결합한 후 다시 동사 ‘가-’가 결합한 것이다. 19세기 이후에 ‘긔-’가 ‘기-’로 변하여 ‘기어가-’로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긔어가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긔여가다)
세 찻 아기 鄭習이 여슷 설 머거 잇더니 주 겨틔 셔 이셔 블러 울며 기셋 아기 긔여가아 져즐 니 피 흘러 이베 드더니 ≪1460년경 삼강-런던 열:31
17세기 : (긔여가다)
도적이 므거 긔여가 어미 자 서 안고 우더니 ≪1617 동신속 열5:73ㄴ≫
18세기 : (긔여가다)
죽엄 겻셔 울고 강보에 아 오히려 긔여가 졋을 라 먹으니 피 흘러 입으로 드디라 ≪1797 오륜 열:65ㄴ
19세기 : (긔여가다, 긔어가다)
적은 버러지 개암이니  속에 잇고 으로 긔여오고 긔여가며  털 잇 버러지가 잇서 구물거리며 ≪1894 훈아 8ㄱ
긔어가다 匍匐而去 ≪1895 국한 48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