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겨레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같은 핏줄을 이어받은 민족.
우리는 단군의 피를 이어받은 한 겨레이다.
국난을 당하여 온 겨레는 침략자에 맞서 싸웠다.
우리 겨레의 소원은 통일이다.

관련 어휘

역사 정보

결에(16세기~19세기)>겨레(16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겨례’의 옛말인 ‘결에’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결에’가 연철표기 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제2음절의 첫소리 ‘ㅇ’이 유성후두마찰음 [ɦ]의 소리값을 가지고 있던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16세기에 유성후두마찰음 [ɦ]의 ‘ㅇ’이 소멸하면서 ‘결에’의 제1음절 끝소리인 ‘ㄹ’이 연철표기된 ‘겨레’도 함께 나타난다. 16세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겨레’가 정착되어 현재에 이른 것이다. 17세기에 나타나는 ‘결레’는 제1음절의 끝소리 ‘ㄹ’이 양쪽 음절에 중복되어 표기된 형태이다.
‘결에’는 본래 ‘친척, 인척’의 뜻이로 쓰이던 것이었는데 현대 국어의 ‘겨레’는 ‘민족’과 같은 의미로 쓰이고 있다. 이는 20세기 초반에 일었던 민족주의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이형태/이표기 결에, 겨레, 결레, 결네, 결래
세기별 용례
16세기 : (결에, 겨레)
결에 족 ≪1576 신증유합 상:13ㄱ≫
그 시절 녯 가문과 오란 겨레들히 다 能히 이 디 몯더라 ≪1588 소언 6:75ㄱ
17세기 : (결에, 겨레, 결레)
결에 다 죽고 내 홀로 예 이시니 ≪1617 동신속 열7:26ㄴ≫
겨레 랑기 슝샹며 헤 즐거오믈 둣거이 여 ≪1658 경민-중 25ㄴ
오 일 디나 믄득 읻던 바 일허 결레히 두로 구호 엇디 몯야 ≪1617 동신속 열3:56ㄴ≫
18세기 : (결에, 겨레, 결레, 결네, 결래)
우리 吳中에 결에 甚히 만니 내게아 진실로 親니 疎니 잇거니와 ≪1737 어내 3:42ㄱ
내 보니 일홈난 가門과 노 겨레의 祖先의 튱셩며 효도며 브즈런며 ≪1737 어내 1:27ㄴ
우흐론  帝의 恩을 갑오며 가온대론  결레의 禍 플게 며 ≪1737 어내 2:59ㄴ
뎡권은 의 결네오 유익의 뷔니 ≪1756 천의소감 4:61ㄱ≫
外戚은 어믜 편 결래라1737 어내 2:40ㄴ
19세기 : (겨레, 결레)
겨레 戚 ≪1880 한불 158
결레 族 ≪1895 국한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