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두터이발음 듣기]
품사
「부사」
「001」신의, 믿음, 관계, 인정 따위가 굳고 깊게.
우정을 두터이 하다.
다른 나라와의 관계를 두터이 하다.
두 분은 교분을 두터이 유지하셨다.
회장은 비서실장을 두터이 신임하였다.
양국은 유대를 두터이 하였다.
그런 점에 있어서 그는 윗사람에게 신임을, 동료들 사이에 우의를 두터이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유주현, 대한 제국≫
희종은 그에게 친서(親書)를 주어 귀국을 허락했으며 고변은 이백관의 돈과 그밖에 행장을 두터이 갖추어 주었다.≪정병욱 외, 한국의 인간상≫

역사 정보

두터이(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두터이'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두터이'는 '두텁-'과 부사 파생 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이다. 17세기의 '둗터이'와 19세기의 '둣터이'는 제2음절 초성 'ᄐ'의 영향으로 제1음절 종성이 있는 것으로 발음되는 현상을 제1음절의 종성 표기 'ᄃ'과 'ᄉ'으로 반영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두터이, 둗터이, 둣터이
세기별 용례
15세기 : (두터이)
글 두터이 글횬 汁도  리라 ≪1466 구방 상:53ㄱ
16세기 : (두터이)
다 올 일로 홈을 두터이 야 ≪1518 번소 9:74ㄴ
17세기 : (두터이, 둗터이)
허리 아래를 두터이 더퍼 양 온화케 라 ≪1608 언태 26ㄱ
녜 초와 둗터이 묻고 ≪1617 동신속 효8:69ㄴ≫
18세기 : (두터이)
말을 두터이 아니 홈이 업시 야 ≪1737 어내 62ㄴ
19세기 : (두터이, 둣터이)
그 폐을 두터이 야 ≪1832 십구 2:18ㄴ
만사에 넉넉여 둣터이 돕 거시 ≪1887 성전 고린도후서 9:1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