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옫깜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옷을 짓는 데 쓰는 천.
옷감을 마르다.
옷감을 끊다.
옷감을 떠다가 설빔을 해 입혔다.
옷은 살살 빨아야 옷감이 상하지 않는다.

역사 정보

옷(15세기)>옷(17세기~18세기)>옷감(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옷’의 옛말인 ‘옷’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옷’은 “옷”을 뜻하는 ‘옷’과 “재료”를 뜻하는 ‘’이 결합된 것이다. 16세기 이후 유성 마찰음인 ‘ㅿ’[z]이 소멸함에 따라 17세기 문헌에서 ‘옷’이 나타난다. 16세기 후반에 제2음절 이하의 ‘ㆍ’는 ‘ㅡ’로 변하였는데 ‘’도 이 변화를 겪어 18세기 문헌에 ‘옷음’이 나타난다. 이 ‘옷음’에서 제2음절과 제3음절이 축약되어 19세기 문헌에 ‘옷감’으로 나타나고 이것이 현재까지 이어진다.
이형태/이표기 옷, 옷, 옷음, 옷감
세기별 용례
15세기 : ((옷))
法은 몬져 옷로 엇게로셔 밧귀머리 우희 ≪1459 월석 25:20ㄴ
17세기 : ((옷))
裁帛 옷1690 역해 하:6ㄱ
18세기 : ((옷, 옷음))
衣料 옷1775 역보 40ㄴ
이 비단  疋이 큰 옷음 두 이 넉넉니 ≪1765 박신 1:16ㄴ
19세기 : ((옷감))
도아주 이 업매 옷감을 셔 ≪1894 천로 서:3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