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아래위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아래와 위를 아울러 이르는 말.
아래위로 훑어보는 그 시선은 참기 어려웠다.
입안이 칼칼해서 나는 혓바닥으로 입천장과 아래위 잇몸을 마구 문질렀다.≪김원우, 짐승의 시간≫

관련 어휘

비슷한말
위-아래
지역어(방언)
아리-우(경남)
옛말
아라-웋

역사 정보

아라웋(15세기~16세기)>아래웋(16세기~17세기)>아래우(19세기)>아래위(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아래위’의 옛말인 ‘아라웋’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아라웋’은 명사 ‘아래’와 ‘웋’의 합성어이다. 현대 국어 ‘아래’는 15세기부터 ‘아래’로 나타나나 “아래위”를 뜻하는 ‘아라웋’ 안에서는 ‘아라’로 나타난다. 합성어에 남아 있는 이 ‘아라’는 ‘아래’의 고형일 것으로 생각된다. ‘웋’은 “위”를 뜻하는 명사로서 모음이나 ‘ㄷ, ㄱ’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결합할 때에는 끝소리 ‘ㅎ’이 나타나지만, 그 밖의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결합하거나 단독으로 쓰일 때에는 ‘ㅎ’이 탈락하여 ‘웋/우’의 교체를 보였다. 소위 ‘ㅎ’ 종성 체언으로 부르는 명사의 교체 형태이다. 마찬가지로 ‘아라웋’도 ‘아라웋/아라우’의 교체를 보였다. ‘아라웋’은 16세기까지 나타나, 16세기에 신형 ‘아래’와 ‘웋’과 결합한 ‘아래웋’과 공존하게 된다. ‘아래웋’도 ‘아래웋/아래우’의 교체를 보였다. 18세기에는 ‘ㆍ’의 소실로 ‘ㅐ’와 ‘ㆎ’의 표기 혼란이 나타났다. ‘아래’의 ‘ㅐ’가 ‘ㆎ’로 표기된 ‘아’가 나타났으며 이 ‘아’가 결합한 ‘아우’가 나타났다. 문헌에서 볼 수 있는 표기는 ‘아웃니’ 속의 ‘아우’이다. 이는 ‘아웋’와 교체했을 가능성도 있고 모든 환경에서 ‘아우’로 나타나는 형태일 수도 있으나 예가 적어 판단하기는 힘들다. 19세기부터는 ‘ㅎ’ 종성 체언이 아닌 ‘아래우’의 예가 나타난다. ‘웋’은 19세기에도 ‘ㅎ’ 종성의 교체형을 유지하는 예를 많이 보이는 것과는 대조된다. 한편 19세기부터 ‘웋’에 처격 조사가 결합한 ‘우희’가 명사로 굳어진 예가 나타난다. 이 ‘우희’에서 ‘ㅎ’이 탈락하여 ‘위’가 되는데 합성어 ‘아래우’도 20세기에 와서는 ‘아래위’로 바뀌게 되어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아라웋, 아라우, 아래웋, 아웋, 아래우
세기별 용례
15세기 : ((아라웋, 아라우))
 골 아라우히 디 아니샤 가지로 充實시며 ≪1459 월석 2:41ㄱ
甚히 기픈 十二部經을 니르리니 듣고 信야 아라우 업슨 道理ㅅ  發야 ≪1459 월석 8:71ㄴ
16세기 : ((아라우, 아래웋))
내 보과라 아라웃 고리 다 업다  늙도다 ≪1510년대 번노 하:8ㄴ
얼운 아 모도아 칠 귀로 죵이며 고마 두디 아니코 아래우히 화동여 예 잡말리 업더라 ≪1518 이륜-옥 28ㄱ
17세기 : ((아래웋))
아 온몸이며 머리  아래우흘 다 싯 곰 독을 업게 라 ≪1608 언두 상:6ㄱ
18세기 : ((아우))
네 니 들어 보라 내 보니 아웃니 다 달하 장 늙엇다 ≪1765 청노 5:12ㄴ
19세기 : ((아래우))
산 압희 니러 쳐다보니 녕악히 놉흔 아래우가 굽은 듯지라 ≪1894 천로 상:15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상위어본말/준말위아래비슷한말참고 어휘하위어낮춤말반대말높임말아래위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