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수탁

- 활용
- 수탉이[수탈기


- 품사
- 「명사」
- 「001」닭의 수컷.
- 수탉이 울다.
- 수탉이 홰를 치다.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웅계(雄鷄)
- 지역어(방언)
- 수탁(강원, 경기, 제주, 충청), 숫-닥(강원, 경남, 전남, 충북), 장-닭(강원, 경상, 충남), 숙-닥(경남, 전남), 숙-장달(경남), 쑥-닥(경남, 전남), 장-딸(경남), 숫-달(경상), 당-닥(전남), 징-닥(전남), 숨-닭(전북), 숨탉(전북), 숩-닭(전북), 수타기(충북), 수탈기(황해)
- 옛말
- 수
역사 정보
수(15세기~16세기)>수탉(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수탉’의 옛말인 ‘수’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수’은 “수컷”을 의미하는 명사 ‘수01’의 옛말인 ㅎ종성체언 ‘숳’과 명사 ‘’의 합성어이다. 근대국어 후기에 모음 ‘ㆍ’가 ‘ㅏ’와 소리가 같아짐에 따라 19세기에는 ‘수탉’ 형태가 등장하여 오늘날에 이른다. 한편 15~19세기 문헌에는 ‘수>수닭’ 형태도 공존하였는데, 이는 명사 ‘숳’와 ‘’ 사이에 단어 경계가 있어서 ㅎ종성체언인 ‘숳’의 끝소리 ㅎ이 탈락한 후 ‘’이 결합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수, 수탉, 수, 수ㄱ, 슈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관용구·속담(1)
- 속담수탉이 울어야 날이 새지
- 가정에서는 남편이 주장하여 일을 처리하여야 일이 제대로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