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비로타다발음 듣기]
활용
비롯하여[비로타여](비롯해[비로태]), 비롯하니[비로타니]
품사/문형
「동사」 【…에서】
「001」어떤 사물이 처음 생기거나 시작하다.
순수한 열정에서 비롯한 일.
애초의 허물은 우리들 쪽에서 비롯한 것이다.≪이청준, 예언자≫
여기는 계단 위다. 땅에서 비롯하여 희뿌연 공간에서 끝난 계단이다.≪유주현, 하오의 연가≫
여성으로서 건사해야 할 미덕들을 훌훌 벗어던지고도 당당하게 행세할 수 있는 힘은 어디에서 비롯하는 것인가.≪이동하, 도시의 늪≫
그것은 자기가 결국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심한 무력감에서 비롯한 것인지도 몰랐다.≪조해일, 왕십리≫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비릇-하다(평북)
옛말
비릇다, 비다

역사 정보

비릇다/비다(15세기~18세기))>비롯다/비릇다(19세기)>비롯하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비롯하다’의 옛말인 ‘비릇다/비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이후에 ‘-’가 결합하여 ‘비릇다, 비다’로 되면 이 형태는 근대 국어 후기에 둘째 음절 ‘릇/’이 ‘롯’으로 바뀌고, 문헌에 나타나지는 않지만 ‘비롯다’가 쓰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비롯다’의 ‘-’가 ‘하-’로 바뀌면서 현재의 ‘비롯하다’가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17세기에는 ‘비륻다’가 쓰이는데 이것은 이 시기에 ‘ㅅ’과 ‘ㄷ’의 받침 표기가 문란해졌기 때문이다.
이형태/이표기 비릇다, 비다, 비륻다, 비롯다, 비릇다, 비롯하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비릇다, 비다)
처 비릇 거시 因이오 ≪1447 석상 13:41ㄱ
이 虛妄 因야 고  비니라1461 능엄 4:32ㄴ
16세기 : (비릇다, 비륻다)
禮 남진 겨집 삼가매 비륻니1588 소언 2:50ㄱ
孝 어버이 셤기애 비릇고 님금 셤김애 가온대오 몸 셰옴애 니라 ≪1590 효언 2ㄴ
17세기 : (비릇다, 비다)
峓門이 예로브터 비릇니1632 두시-중 6:47ㄱ
冬至 一陽의 비 거신 故로 그 類 象야 祭니라 ≪1632 가언 10:30ㄴ
18세기 : (비릇다, 비다)
災厄이 일로조차 비릇니라1737 어내 1:10ㄴ
아 치 節은 敎ㅣ 飮食애 비롣니 얼여셔 치디 아니고 ≪1737 여사 4:3ㄱ
우리 황뎨 창시믈 녀말에 비롯시니 곳 무신이오 ≪1761 경문 43ㄱ
나의 덕야실 의 비고 그 시작을 궁구진대 ≪1777 명의 권수하어제윤음:8ㄱ
19세기 : (비롯다, 비릇다)
비롯다 始 ≪1880 한불 327
일그붓터 비릇여 뎐여 갈오샤 너희 회라 텬국이 갓가왓다 다라 ≪1887 성전 마태복음 4:18
야로살으로브터 비롯리니 너희 이 일에 간주이 되리라 ≪1894 훈아 41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