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제발음 듣기]
품사
「대명사」
「002」’에 주격 조사 ‘가’나 보격 조사 ‘가’가 붙을 때의 형태.
그 꼬마는 제가 궁금한 것을 선생님께 꼬치꼬치 캐물었다.
그녀는 제가 단지 연약한 여자라는 사실을 너무 잘 알고 있었다.
그 아이는 벽에 낙서한 사람은 제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이럴 때는 제가 소용이 될 것 같아 가만있을 수 없었다는 말에 김확실이는 가슴이 찌릿했다.≪송기숙, 녹두 장군≫
그의 단순한 머리로, 딴은, 제가 명준에게 느끼는 호감을 풀이하기는 어려운 일임에 틀림없었다.≪최인훈, 광장≫
녀석이 손가락 하나 까딱하지 않고 빈둥거릴 때는 대개 제가 목표했던 월수입이 달성된 다음이었다.≪윤흥길, 완장≫
저도 수사요 나도 수사인데, 제가 감히 내 허락도 없이 어떻게 나의 군관을 볼기를 때린단 말인가.≪박종화, 임진왜란≫
제가 강요해서 알아내는 것하고 우리가 자발적으로 말하는 것하곤 그 의미나 결과가 다를 것 아녜요?≪이병주, 행복어 사전≫
가까스로 마당에 내려 와 사립문을 나서려 하매, 제가 나고 자라고 시집가고 한 정든 이 집이 다시 돌아다보아지고 또 돌아다 보이었다.≪현진건, 무영탑≫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강원, 경북)

어원

제<석상>←저+-이

관용구·속담(22)

관용구제노라 하다
자기 스스로를 인정하거나 뽐내다.
속담제가 갈 길은 제가 걸어야 한다
제가 해야 할 일을 남에게 밀거나 남의 신세를 지려고 할 것이 아니라 자신의 힘으로 해 나가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제가 기른 개에게 발꿈치 물린다
자기에게 은혜를 입은 사람으로부터 도리어 화를 입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내 밥 먹은 개가 발뒤축을 문다’ ‘제 밥 먹은 개가 제 발등 문다’ ‘제집 개에게 발뒤꿈치 물린 셈
속담제가 기른 자식도 장가보내면 사촌 된다
자식도 장가를 보내어 살림을 꾸려 주면, 자연히 사이가 벌어져 어려워지게 된다는 말.
속담제가 놓은 덫에 제가 먼저 걸려든다
제가 놓은 올가미에 제가 먼저 걸려 해를 입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제가 놓은 덫에 치이다
속담제가 놓은 덫에 치이다
제가 놓은 올가미에 제가 먼저 걸려 해를 입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제가 놓은 덫에 제가 먼저 걸려든다
속담제가 제 무덤을 판다
스스로 자신을 망치는 어리석은 짓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제가 제 뺨을 친다
자기가 잘못하여 자신에게 해가 돌아오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제 손으로 제 눈 찌르기’ ‘제 손으로 제 뺨을 친다
속담제가 춤추고 싶어서 동서를 권한다
제가 춤을 추고 싶다는 말은 못하고 그 동서에게 권한다는 뜻으로, 무슨 일을 자기가 하고 싶어서 남에게 권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동서 춤추게’ ‘춤추고 싶은 둘째 동서 맏동서보고 춤추라 한다
속담제가 하고 싶어 하는 일은 흥이 난다
자기가 하고 싶어서 하는 일은 흥이 나서 한다는 말. <동의 속담> ‘저 하고 싶어서 하는 일은 힘든 줄 모른다
속담제게서 나간 것이 제게로 돌아온다
남을 위해서 좋은 일을 하면 자기에게도 좋은 일이 있게 되고 공연히 남을 해치려고 하면 도리어 그 화가 자기에게 미친다는 말.
속담제게서 나온 말이 다시 제게 돌아간다
소문이 빨리 퍼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제 그른 줄 모르고 남만 그르다 한다
자신의 잘못은 깨닫지 못하고 남에게만 잘못이 있다고 생각하거나, 자신이 저지른 잘못의 원인을 남에게서 찾는 그릇된 태도를 이르는 말.
속담제 눈 똥에 주저앉는다
남을 해치려고 한 일에 도리어 자기가 걸려들어 해를 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제 다 아는 상한다
제가 다 아는 듯이 거만하게 우쭐대는 모양을 비꼬는 말.
속담제를 제라니 샌님 보고 벗하잔다
자기를 대접해서 공대를 해 주니 되지 못하게 윗사람보고 벗하며 사귀자고 한다는 뜻으로, 교양이 부족한 사람이 남들의 대접에 대하여 예의 바르게 대할 줄 모르고 공연히 우쭐대면서 건방지게 굶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제 먹기는 싫고 개 주기는 아깝다
저 먹자니 싫고 남[개] 주자니 아깝다’의 북한 속담.
속담제 먹기 싫은 떡 남 주기는 아깝다
저 먹자니 싫고 남[개] 주자니 아깝다’의 북한 속담.
속담제 못 쓰는 것 남 주기 싫어한다
자기는 못 쓸 것이라도 남 주기는 싫어한다는 뜻으로, 구두쇠같이 옹졸하고 몹시 인색한 사람의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제 살 궁리는 다 한다
어려운 경우를 당하여도 누구나 자기가 살아갈 궁리는 다 하고 있음을 이르는 말.
속담제 속은 줄 모르고 남 속이려 든다
자기가 남에게 속은 줄도 모르고 제 딴에는 남을 속인다고 생각하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속담제 좋아서 곤장 지고 다니면서 매를 맞는다
자기가 좋아서 하는 일은 아무리 힘이 들고 고통스러워도 스스로 찾아서 하게 됨을 이르는 말.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