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말달리다발음 듣기]
활용
말달리어[말달리어발음 듣기/말달리여발음 듣기](말달려[말달려]), 말달리니[말달리니]
품사
「동사」
「001」말을 타고 몰거나 달리다.
평양성 안의 거리는 별안간 더한층 수선거리고 왜병들의 말달리는 소리가 급하고 바빴다.≪박종화, 임진왜란≫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이다(15세기~17세기)>리다(17세기~18세기)>말달리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말달리다’의 옛말인 ‘이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다’는 “말”의 의미인 ‘’과 “달리다”의 의미인 ‘-’에 사동 접미사 ‘-이-’가 결합한 ‘이-’가 결합한 것이다. ‘-’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로, 그외의 어미 앞에서는 ‘-’으로 나타나는 동사였다. 16세기에 유성 후두 마찰음 ‘ㅇ’[ɦ]가 소멸하면서 ‘ㄹ’이 추가되어 17세기에는 ‘리다’로 나타난다. 16세기 후반에 제2음절 이하의 ‘ㆍ’가 다른 모음으로 변화하고,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됨에 따라 19세기에는 ‘말달리다’로 변화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세기의 문헌에서 ‘말달리다’는 확인되지 않고 ‘말달니다’만 나타난다. ‘말달니다’는 어중의 ‘ㄹㄹ’을 ‘ㄹㄴ’으로 적는 표기 경향에 따라 나타난 것이므로, 이 시기부터 ‘말달리다’가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다. 18세기의 ‘니다’는 ‘리다’의 어중 ‘ㄹㄹ’을 ‘ㄹㄴ’으로 표기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이다, 리다, 니다, 말달니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이다)
여 뇨 可히 니디 몯리로소니 ≪1481 두시-초 9:6ㄴ
定昆池로 여 오던 이 노라 ≪1481 두시-초 15:10ㄱ
16세기 : (이다)
그 도기 셧녁으로 여 니거늘 ≪1510년대 번노 상:30ㄱ
일 빙 ≪1576 신합 하:39ㄱ
17세기 : (이다, 리다)
오새 피 뭇고 여 가 갈 터리 불리로다 ≪1632 두시-중 5:4ㄴ
그 도적이 西로 향여 려 가니라 ≪1670 노언 상:27ㄱ
跑馬 리다1690 역해 상:20ㄴ
18세기 : (리다, 니다)
跑馬 리다1778 방유 유부:11ㄱ
밧그로 니기 거나 산딜 기 면 ≪1756 어훈 26ㄱ
19세기 : (말달니다)
말달니다 馳馬 ≪1895 국한 107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