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두루발음 듣기]
품사
「부사」
「001」빠짐없이 골고루.
나라 안을 두루 돌아다니다.
여기저기 두루 살펴라.
그는 여러 가지 조건을 두루 갖춘 신랑감이다.
그는 고위 관직을 두루 거쳤다.
그 소식은 인근 마을까지 두루 퍼졌다.
고등학교 중학교 국민학교 두루 다니고 있는 아이들에게 정례의 막된 행동은 해가 되었다.≪한무숙, 어둠에 갇힌 불꽃들≫
되새겨 볼수록 두루 잘된 일임에 틀림없으므로 그녀의 발걸음은 어느 때보다도 가볍기만 했다.≪이문구, 장한몽≫
그는 자리에서 일어나 집 안을 두루 훑어보았고, 끝내는 울음소리를 내는 것이 무엇인가도 찾아내고야 말았다.≪이문구, 해벽≫
위락 시설을 두루 갖춘 휴양지.
그래, 집안은 두루 평안하시오?
근엄한 생활 태도와 산천을 두루 찾아다님으로써 몸과 마음이 단련된 그는 환갑을 넘었어도 여전히 즐거이 그림을 그렸다.≪정병욱 외, 한국의 인간상≫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두리(강원, 경남)
옛말
엔-두루

역사 정보

두루/두로(15세기~19세기)>두루(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두루’의 옛말인 ‘두루’와 ‘두로’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두루’와 ‘두로’는 어간 ‘두르-’에서 부사 ‘*두르’로 직접 파생된 후 제2음절 모음 ‘ㅡ’가 제1음절 ‘ㅜ’의 영향으로 ‘ㅜ’ 혹은 ‘ㅗ’로 변화되어 ‘두루’ 혹은 ‘두로’로 나타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접미사 ‘-오’나 ‘-우’가 결합되어 파생된 부사의 경우 거성으로 끝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루’와 ‘두로’의 성조가 ‘평평’이라는 점은 이를 뒷받침한다. ‘두루’와 ‘두로’는 19세기까지 함께 쓰이다가 20세기 이후 ‘두루’만이 표준어로 인정되어 현재에 이르렀다. 16세기의 ‘두’는 어간 ‘두르-’에서 직접 파생된 ‘*두르’의 제2음절 모음 ‘ㅡ’가 16세기 후반 이후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ㅗ’나 ‘ㅜ’로 변화했던 경향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이해하여 ‘ㆍ’로 되돌려 표기했을 가능성이 있다. 16세기의 ‘둘우’는 ‘두루’를 분철 표기 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두루, 두로, 둘우, 두
세기별 용례
15세기 : (두루, 두로)
부톄 여러 나라해 두루 니샤 舍衛國에 오래 아니 왯더시니 ≪1447 석상 6:44ㄱ
호 이 두로 녀 알파  고디 아니어든 ≪1489 구간 1:90ㄱ
16세기 : (두루, 둘우, 두로, 두)
의 올아셔 소노로 두루 치디 말며 ≪1518 번소 4:11ㄱ
두로 닐어 쳔거호미 이 닐운 사름믜 됴 일 일우미라 ≪1518 정속-이 29ㄱ
두 쥬 ≪1575 천자-광 5ㄱ
지게예 들 제 扃을 받드시 며 보기를 둘우 말며 ≪1588 소언 3:11ㄴ
17세기 : (두루, 두로)
밤낫 겨틔 이셔 하 블러 울며 두루 약 얻더니 ≪1617 동삼 효:3ㄴ≫
집 압 큰 내흘 두로 보아 그 여  깁  아랏더니 ≪1617 동신속 열5:76ㄴ≫
18세기 : (두루, 둘우, 두로)
지게예 들 제 문쎄 밧드시 며 보기 두로 말며 ≪1737 어내 1:5ㄱ
齊와 梁의 두루 노샤 다만 닐곱 篇 글을 디으시고 ≪1756 어훈 6ㄴ
 졈 령셰 팔방의 둘우 비최리니 ≪1794 유제도윤음 2ㄱ
19세기 : (두루, 두로)
드듸여 몸을 저  두로 뵈니라 ≪1832 십구 2:97ㄱ
셩인이 두루 니며 가지로 사로 잡혀 고로옴 밧 쟈 위로 더라 ≪1865 주년 39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