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깨다

- 활용
- 깨어[깨어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8」어려운 장벽이나 기록 따위를 넘다.
- 세계 기록을 깨다.
- 인종 차별의 벽을 깨다.
- 얼마 후에 다른 주민들은 그런 법이 분명히 있으며 그 법의 힘을 깨기엔 자신들의 힘이 너무 미약하다는 사실을 거개가 밝히 깨달았다.≪윤흥길, 완장≫
역사 정보
다(15세기)>다(18세기~19세기)>깨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깨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근대 국어 시기에 어두 자음군이 사라지면서 18세기에는 ‘-’의 초성 ‘ㅴ’에서 ‘ㅂ’이 탈락하고 ‘ㄱ’의 된소리로 변화하여 ‘-’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19세기에 ‘ㄱ’의 된소리 표기가 ‘ㅺ’에서 ‘ㄲ’으로 바뀌어 ‘깨-’로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18세기에 나타난 ‘-’는 ‘-’의 이표기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다, 다, 다, 다, 깨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