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우두머리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2」어떤 일이나 단체에서 으뜸인 사람.
그는 우리 모임의 우두머리였다.
숙부는 어려서부터 장난이 심하고, 특히 아이들을 모아 일을 꾸미는 데는 선수였다. 자신은 언제나 우두머리 노릇을 하면서 말이다.≪최일남, 숙부는 늑대≫

역사 정보

爲頭/爲頭머리(15세기)>우두(18세기)>우두머리(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우두머리’의 옛말인 ‘爲頭’, ‘爲頭머리’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5세기 국어에서 한자어 ‘위두’(爲頭)는 대개 ‘위두다’로 쓰이면서 “가장 위가 되다”라는 뜻을 나타내었는데 이 ‘위두’(爲頭)가 “우두머리”의 뜻으로도 쓰였다. ‘위두머리’는 ‘위두’와 ‘머리’가 결합된 것이다. 17세기 문헌에 보이는 ‘웃머리’는 한자어 ‘위두’(爲頭)를 고유어로 풀어 쓴 것이다. ‘위두’의 제1음절 ‘위’는 중세 국어에서 이중 모음 [uy]로 소리 났는데 근대 국어 시기에 ‘y’가 탈락되어 ‘우두’가 된다. ‘우두’는 18세기 문헌에서 나타나고 ‘우두머리’는 19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현재에 이른다.
이형태/이표기 爲頭머리, 爲頭, 웃머리, 위두, 우두, 우두머리, 웃으머리
세기별 용례
15세기 : ((爲頭, 爲頭머리, 웃머리))
爲頭 도기 나 자바다가 ≪1459 월석 10:25ㄱ
大迦葉이 爲頭머릿 弟子ㅣ로 ≪1463 법화 2:175ㄱ
迦葉은 衆의 웃머리 외야실 ≪1463 법화 4:28ㄴ
16세기 : ((위두))
縣令은 올 위두 관워니니 ≪1518 번소 7:25ㄴ
17세기 : ((爲頭, 웃머리))
平公은 이젯 글기예 爲頭ㅣ니1632 두시-중 16:54ㄱ
웃머리 (上頭) ≪1657 어록-초 8ㄱ
18세기 : ((웃머리, 우두))
웃머리 거더 ≪1756 천의 2:45ㄱ
우두 나찰 마두 나찰 모도 여 드리라 ≪1776 염보-해 32ㄱ
19세기 : ((우두머리, 웃으머리))
우두머리 上頭 首次 ≪1895 국한 225
웃으머리 上頭 ≪1880 한불 69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