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대가리

- 품사
- 「명사」
- 「002」사람의 머리를 속되게 이르는 말.
- 논두렁에다 대가리를 처박고 죽을지언정 남의 것 도둑질할 줄 모르고….≪송기숙, 암태도≫
- 어깨도 벌어졌고 키도 컸다. 대가리 굳으면 저도 어미 생각을 할 테고, 찾아올 날이 있겠지 했던 막연한 생각들이 갑자기 밀려왔다.≪한수산, 유민≫
- 꼬리 감추지 마. 대가리 내밀지 말고. 주 서방 보고 침 삼켜도 허사야.≪박경리, 토지≫
- 왜놈 대가리 넣을 창고도 마련되어 있고, 본국으로 개선하는 날 계집애들 태워 갈 가마도 준비가 돼 있소.≪유주현, 대한 제국≫
- 내 말이 틀렸거든 그 목침으로 내 대가리를 깨시오. 깨지 못하면 내가 당신 대가리를 깨겠소.≪송기숙, 녹두 장군≫
- 아버지는 집안이 망하려니까 딸년들이 대가리에 피도 마르기 전에 암내 먼저 피운다는 상스러운 욕을 서슴지 않았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 농민의 대가리 수에 비하여 지주가 몇 놈 되겠나. 또 노동자들 대가리 수에 비하여 기업가의 대가리 수가 몇이나 되겠나.≪박경리, 토지≫
- 텔레비전에 대가리 번드르르 나오는 놈치고 자랑이 될 만한 놈을 못 보았다.≪김종광, 경찰서여, 안녕, 문학 동네, 2000년≫
- 신을 신은 채로 이 방 저 방을 들락거리다가 나졸이 벙거지 쓴 대가리를 내밀며 외쳤다.≪황석영, 장길산, 창작과 비평사, 1995년≫
- 지도 대가리가 굵었으니 분별이 있을 테지.≪김원우, 벌거벗은 마음, 솔 출판사, 1993년≫
- 비록 보잘것없는 게딱지 같은 판잣집이지만, 이십 년 동안 비바람을 막아 주었고, 오손도손 식구를 모이게 해 주었고, 핏덩어리 자식들이 대가리가 커지도록 안식처가 되었던 꿈과 한이 얽힌 집인 것이었다.≪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현암사, 1980년≫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다갱이(강원, 경기, 경상, 전라, 제주, 충청), 대갈(강원, 경북, 충청, 함남), 대골(강원, 함남), 대구리(강원, 경기, 전남, 제주, 평안, 함남), 두생이(경기), 대가-빠리(경북), 통-대가리(경북), 대갈-몽생이(전남), 대갈-뭉셍이(전남), 대개이(전남, 황해), 대고리(전남), 대갱이(전라, 제주, 충청), 다가리(제주), 다강이(제주), 대댕이(제주), 대망셍이(제주), 대맹생이(제주), 대맹이(제주), 더가리(제주), 더망세기(제주), 더멩이(제주), 데강이(제주), 데갱이(제주), 데겡상이(제주), 데구리(제주), 데망세기(제주), 데망이(제주), 데멩이(제주), 데위(제주), 됴가리(제주), 대감지(충남), 다갈(평안), 대기(함북), 대구재이(황해), 대구지(황해)
관용구·속담(10)
- 관용구대가리가 메주덩이 같다
- (비유적으로) 머리가 몹시 둔하다.
- 관용구대가리(가) 크다
- ‘머리(가) 크다’를 속되게 이르는 말. <동의 관용구> ‘대가리(가) 굵다’
- 대가리 큰 놈을 매일 야단칠 수도 없고.
- 이제 대가리가 컸다고 부모한테 꼬박꼬박 말대답까지 하는구나.
- 관용구대가리가 터지도록[터지게] 싸우다
- 몹시 심하게 치고 때리면서 싸우다.
- 그래, 어디 한번 대가리가 터지도록 싸워 봐라. 그러면 결판이 나겠지.
- 관용구대가리(를) 굴리다
- ‘머리(를) 굴리다’를 속되게 이르는 말.
- 대가리 굴리지 말고 일이나 해.
- 관용구대가리를 싸고 덤비다
- 모든 힘을 다하여 덤비다.
- 너희들이 아무리 대가리를 싸고 덤벼도 그놈을 당해 내기 어려울 것이다.
- 관용구대가리에 피도 안 마르다
- ‘머리에 피도 안 마르다’를 속되게 이르는 말. <동의 관용구> ‘대가리의 물도 안 마르다’
- 대가리에 피도 안 마른 녀석이 어른 흉내를 내려 하냐.
- 그렇다고 대가리에 피도 안 마른 녀석이 술을 퍼마시고 다니는데 모른 체 내버려둘 부모란 이 세상에 있을 수 없는 것이고…. ≪서기원, 마록 열전≫
- 관용구대가리의 물도 안 마르다
- ‘머리에 피도 안 마르다’를 속되게 이르는 말. <동의 관용구> ‘대가리에 피도 안 마르다’
- 속담대가리에 쉬슨 놈
- 어리석고 둔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