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근세 편집하기 편집 금지 요청
발음
[근ː세발음 듣기]
품사
「명사」
분야
『역사』
「002」역사의 시대 구분의 하나로, 중세에 이어 근대가 시작되기 전의 시기.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시대, 유럽에서는 르네상스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기간이다.
근세 구라파의 지식인들이 이탈리아에 보낸 동경과 광기.≪최인훈, 회색인≫
근세 초엽까지 서양을 앞질렀던 동양의 과학기술이 서양에 뒤지게 된 결정적 이유도 진취적 사고방식을 가로막았던 동양의 경직된 사회 체제에 있었다.≪조형근, 논술의 정석, 새길, 1994년≫
근세 조선 시대로 접어들자 가부장적인 양반 사회의 유지를 위해 여자들에게 엄격한 정절과 내외를 강요하는 제도가 수립되었다.≪고려 대학교 교양 국어실, 문장 연습, 고려 대학교 출판부, 1998년≫
취약하기는 하나, 그래도 동족 부락이야말로 안심할 수 있는 유일한 거처였으며 내 몸을 지키는 갑옷이기도 했다. 이 현상은 고대 국가의 성립 이전부터 근세까지 계속되어 온 사회 구조였다.≪김용운, 일본인과 한국인의 의식 구조, 한길사, 1985년≫
중세기의 암흑시대를 벗어난 근세의 특징은 사람 및 자연의 재발견에 있다.≪최현배, 나라 사랑의 길, 정음사, 1958년≫

관련 어휘

참고 어휘
근대(近代)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