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비리다

- 활용
- 비리어[비리어


- 품사
- 「형용사」
- 「001」날콩이나 물고기, 동물의 피 따위에서 나는 맛이나 냄새가 있다.
- 생콩을 볶으면 비리지 않고 고소한 맛이 난다.
- 어시장에서 생선의 비린 냄새가 물씬물씬 풍겨 왔다.
- 식성이 소탈한 것은 천성이어서 찬값 여투느라고 한 일도 없거니와 나이 들어도 누린 것 비린 것 가린 일이 없다.≪한무숙, 유수암≫
- 방 안의 공기는 비리고 무거웠다.≪한용운, 흑풍≫
- 이 고장의 거친 조밥은 목이 메어 못 먹는 그들인지라 물 건너온 흰 쌀밥에다 제법 비린 반찬을 입에 맞춰 먹을 뿐 아니라 이따금 술도 사 먹는 눈치였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 안간힘을 쓰며 몸부림을 치고 악을 써 대다 보니 코에서 찝찔하고 뜨겁고 비린 액체가 흘러나왔다.≪한승원, 해일≫
역사 정보
비리다(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비리다’는 15세기부터 쓰여 현재까지 이어진다. 19세기에는 ‘라다’의 형태도 나타나는데 ‘디다’는 근대 국어 후기 모음 표기가 문란했던 현상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
---|---|
이형태/이표기 | 비리다, 리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