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받치다

- 활용
- 받치어[받치어




- 품사/문형
- 「동사」 【…에 …을】【…을 …으로】
- 「004」물건의 밑이나 옆 따위에 다른 물체를 대다.
- 쟁반에 커피를 받치고 조심조심 걸어오던 그녀의 모습이 아직도 잊히지 않는다.
- 되는대로 뽑은 책을 영민이가 자기 손에 받쳐 줘서 생각보다 빨리 정리할 수 있었다.
- 양손에 대야를 받쳐 들고 토방으로 내려서다가, 올라서는 효원을 보고는 잠시 몸을 비킨다.≪최명희, 혼불≫
- 삽짝을 작대기로 받쳐 놓은 어머니는 얼른 아들 옆에 와서 귀엣말을 했다.≪안수길, 북간도≫
- 가야금을 두 손으로 받쳐 나왔다.≪한수묵, 유수암≫
- 무너져 내릴 위험이 있는 곳에는 강철 파이프와 철근 기둥으로 받쳐 놓았지만 어쨌든 호텔은 대폭 수리를 해야 할 형편이었다.≪황석영, 무기의 그늘≫
- 학생들은 공책에 책받침을 받치고 쓴다.
- 일본인 하녀가 청하지도 않은 차 두 잔을 쟁반에 받쳐 가지고 들어왔다.≪유주현, 대한 제국≫
- 그가 마당 한가운데 놓은 평상 위에 앉자, 아내가 조금 식은 수제비 두 그릇을 상에 받쳐 내왔다.≪한승원, 해일≫
- 아래층이 닳아 들어가는 고로 위층의 석회암은 받치는 힘이 없고 물의 힘은 무거워서 점점 무너진답니다.≪한용운, 흑풍≫
역사 정보
바티다(15세기~19세기)>바치다(19세기)>받치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받치다’의 옛말인 ‘바티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19세기까지 계속 쓰였다. 16세기에는 ‘ㅣ’ 모음 앞에서 ‘ㄷ, ㅌ’이 ‘ㅈ, ㅊ’으로 변화하는 구개음화 현상이 일어나고 17세기에는 많은 어휘가 구개음화의 영향을 받아 형태가 바뀌는데 17세기에는 ‘바티다’가 구개음화된 ‘바치다’도 나타난다. |
---|---|
이형태/이표기 | 바티다, 바치다, 치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