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짜다

- 활용
- 짜[짜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8」누르거나 비틀어서 물기나 기름 따위를 빼내다.
- 여드름을 짜다.
- 젖을 짜다.
- 치약을 짜다.
- 참깨로 기름을 짜다.
- 빨래를 짜서 널다.
- 윤 씨는 약탕관의 약을 삼베 헝겊에 쏟아 대접에 짜기 시작했다.≪최일남, 거룩한 응달≫
- 장모는 불 밝은 대청에서 달인 탕약을 짜는 중이었다.≪이문구, 장한몽≫
역사 정보
다(15세기~19세기)>다(18세기~19세기)>다(19세기)>짜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짜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근대국어 시기에 어두자음군이 사라지고 된소리가 되면서 ‘다’의 초성 ‘ㅶ’도 ‘ㅈ’의 된소리로 변화하여 18세기에는 ‘다’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ㅈ’의 된소리를 ‘ㅾ’으로 표기한 것은 근대국어 시기에 된소리 표기에 ㅅ계 합용병서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이다. 음운상으로는 어두자음군 ‘ㅶ’이 ‘ㅈ’의 된소리로 바뀌었으나 표기상으로는 19세기까지도 ‘다’와 함께 ‘다’ 역시 계속 나타난다. 근대국어 후기에 모음 ‘ㆍ’가 ‘ㅏ’로 변하여 소리의 구별이 사라짐에 따라 19세기에는 ‘다’와 ‘짜다’가 등장하였는데 이들은 된소리를 표기하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을 뿐 소리는 동일하였다. |
---|---|
이형태/이표기 | 다, 다, 다, 짜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