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좁쌀

- 품사
- 「명사」
- 「001」조의 열매를 찧은 쌀.
- 텅 빈 뒤주 바닥엔 좁쌀 한 바가지가 남아 있을 뿐이었다.≪박종화, 임진왜란≫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조(15세기~19세기)>좁(16세기~18세기)>좁(18세기)>좁쌀(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좁쌀’의 옛말인 ‘조’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났다. 이 단어는 ㅎ종성체언인 ‘좋’의 이형태 ‘조’와 ‘’이 결합한 것이다. 16세기에는 ‘좁’ 형태가 등장하였는데 이는 ‘’의 초성인 어두자음군 ‘ㅄ’[ps]에서 ㅂ이 앞 음절의 종성으로 이동한 것이다. 근대국어 시기에 어두자음군이 사라지고 된소리로 바뀌면서 ‘’의 초성도 ‘ㅅ’의 된소리로 바뀌었으며 이를 표기에 반영한 것이 18세기에 등장한 ‘좁’이다. 그러나 표기상으로는 19세기까지도 여전히 ‘조’이 쓰였다. 근대국어 후기에 모음 ㆍ가 ㅏ와 소리가 같아지면서 ‘좁’로부터 현대 국어와 같은 ‘좁쌀’로 변화하였다. |
---|---|
이형태/이표기 | 조, 좁, 좁, 좁쌀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관용구·속담(5)
- 속담좁쌀만큼 아끼다가 담 돌만큼 해(害) 본다
- 조그마한 것을 아끼려다가 오히려 큰 손해를 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기와 한 장 아끼다가 대들보 썩힌다’ ‘한 푼 아끼다 백 냥 잃는다’
- 속담좁쌀 썰어 먹을 놈
- 성질이 아주 좀스러운 사람을 비꼬는 말.
- 속담좁쌀알을 대패질해 먹겠다
- 몹시 잘고 좀스러운 사람의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좁쌀에 뒤웅 판다
- 좁쌀을 파서 뒤웅박을 만든다는 뜻으로, 가망이 없는 일을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좁쌀 한 섬 두고 흉년 들기를 기다린다
- 변변하지 못한 것을 가지고 남이 아쉬운 때를 기회로 삼아 큰 효과를 보려고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