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생각발음 듣기]
활용
생각만[생강만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사물을 헤아리고 판단하는 작용.
올바른 생각.
생각과 행동이 일치하다.
그는 오랜 생각 끝에 대답했다.
사람은 자기 나름대로 생각과 느낌을 가지고 살아간다.
좋은 글이란, 글쓴이의 생각과 느낌이 효과적으로 표현·전달될 수 있는 글이다.
고집 피우지 말고 생각 한번 해 봐.≪한수산, 부초≫

관련 어휘

역사 정보

각(15세기)>각(16세기~19세기)>생각(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생각’의 옛말인 ‘각’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 후반 무렵부터 표기에서 ‘ㆁ’ 대신 ‘ㅇ’을 사용하게 됨에 따라 16세기 후반에는 ‘각’으로 표기되었다. 근대국어 시기 제1음절의 모음 ‘ㆍ’가 ‘ㅏ’와 소리가 같아지면서 이중모음 ‘ㆎ’도 ‘ㅐ’와 소리가 같아져서 18세기에는 ‘생각’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또한 18세기 말~19세기 초에 이중모음 ‘ㅐ[ay]’가 [ɛ]로 단모음화 하여 오늘날과 같은 ‘생각’이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각, 각, 생각
세기별 용례
15세기 : (각)
며 괴외혼 젼로 動과 靜괘 옮기디 몯며 念 여흰 젼로 각과 니좀괘 나 니라 ≪1461 능엄 9:51ㄴ
너희히 아 녯 예  奇異 거슬 보고 年歲 디내야 각과 니주미 다 업다가 ≪1461 능엄 10:83ㄴ
16세기 : (각)
각    去聲 ≪1576 신합 하:11ㄱ
각 념 ≪1576 신합 하:17ㄱ
각 유 오직 유 ≪1576 신합 하: 17ㄱ
17세기 : (각)
각 밧긔 수이오니 大守도 일뎡 깃비 너기시올쇠 ≪1676 첩신-초 5:10ㄴ
우리 각과 그 어긔미 天地 거니와 이리  으로 디 못 시니 ≪1676 첩신-초 4:14ㄴ
18세기 : (각, 생각)
나  婆娘이 三十年 편코져 홈을 위여 千萬年 香火 츠면 장 각 업슴이라 ≪1721 오륜전비 6:4ㄱ
밤 들매 드러가 각이 이에 미매 누어 능히 자디 못니 ≪1756 천의 뉸음 2ㄴ
遼東의 다 도록 텬하의 빗겨 으로  거시 진짓 큰 사나희 생각이라1774 삼역 8:16ㄱ
19세기 : (각, 생각)
일노 조 글 각이 신긔여 쟝원급졔 니라 ≪1852 태상 1:05ㄴ
이러므로 각과 말과 실을 맛당이 젼혀 텬쥬끠 드림이 우리 본분이라 ≪1892 성직 119ㄴ
생각 사 思 ≪1884 정몽 28ㄱ
곰곰 생각 深深思量 左思右想 ≪1895 국한 29
관련 정보 ‘각’의 어원을 한자어 ‘生覺’ 또는 ‘省覺’으로 보기도 하나 이는 단순한 취음자(取音字)일 가능성이 높다.

관용구·속담(3)

관용구생각이 꿀떡 같다
무엇을 하고 싶은 생각이 매우 간절하다.
  • 아침을 굶었더니 점심시간이 아직 멀었는데도 밥 생각이 꿀떡 같다.
관용구생각(이) 돌다
그때그때마다 생각이 잘 되거나 잘 떠오르다.
  • 그는 생각이 돌지 않을 때 손가락으로 책상을 두드리는 버릇이 있다.
  • 동생은 좀 둔한 형과는 달라서 생각이 도는 편이야.
관용구생각이 팔자
늘 원하고 골똘히 생각하는 대로 운명이 결정된다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