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사르다발음 듣기]
활용
살라[살라발음 듣기], 사르니[사르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1」불에 태워 없애다.
성냥불을 켜서 편지를 살랐다.
반야가 보살 옆에 향을 사르고 백 번 천 번 절을 올리면서 가만히 축원하는 말은 언제 어느 때나 똑같은 소리였다.≪박종화, 다정불심≫
우리들이 손바닥만 한 마루에 걸터앉아 막 담배 한 대를 사르고 있는데 안방에서 웬 여자가 문을 확 열어젖혔다.≪최일남, 서울 사람들≫

역사 정보

다(15세기~19세기)>사르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사르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원래 동일한 의미인 ‘다’의 ‘-’에 사동 접미사 ‘--’가 결합한 것인데 15세기 당시에 ‘다, 다, 오다’가 공존하였다. ‘오다’는 ‘-’에 사동 접미사 ‘-오-’가 결합한 것이다. ‘다’는 15세기부터 17세기부터 쓰이면서 이 시기에 ‘다’와 공존했지만 18세기부터는 ‘다’가 우세하였다. 근대 국어 시기에 ‘ㆍ’의 음가 변화와 함께 19세기부터는 ‘사르다’가 쓰여 현재까지 이어진다.
이형태/이표기 다, 오다, 르다, 으다, 사르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다)
이제  샤 모미 디 몯거시다 더니 ≪1459 월석 18:42ㄴ
제 能히 네 소냇 글 란 오 고댓 林木이 다 반기 브투믈 受며 다가 거우룻 中에셔 딘댄 ≪1461 능엄 3:75ㄴ
아뫼나 發心야 阿褥多羅三藐三菩提 得고져  사미 能히 가라 어나 발  가라개 니르러 ≪1459 월석 18:44ㄴ
17세기 : (다)
사 딘 니나 아  니 뎌 됴니 블에 라 라 셰말야 니  낫로  복 라  술의 플러 머기라 ≪1608 언두 하:29ㄴ
18세기 : (다, 오다)
왜 왕이 굴티 아니 줄을 알고 블에 와 죽이니 그 안 뎨샹의 죽으믈 듯고 ≪1797 오륜 충:73ㄱ
茶毗 즁 죽은 것 오다1778 방유 술부:17ㄴ
19세기 : (으다, 르다, 사르다)
분 문셔 불의 으고  쳔을 여 형의 비즐 갑더니 ≪1852 태상 4:43ㄱ
가마 두다리며 글시 쓴 죵희을 르며 몹슬 말노 을 지고 욕지 말며 ≪1881 조군 6ㄴ
샤치던 쟈가 그 사르 불에  보 ≪1887 성전 요한묵시록 18:10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