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사묻

- 품사
- 「부사」
- 「001」거리낌 없이 마구.
- 그는 선생님 앞에서 사뭇 술을 마셨다.
- 접시를 닦는 그녀의 손가락이 사뭇 떨렸다.
- 발소리는 사뭇 가까워 오고 있었다.≪이무영, 농민≫
- 거듭 묻고 있는 양만석의 말투가 사뭇 거칠어졌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장교가 악을 썼다. 원래 성미가 급한 자인지, 안에서 영이 그만큼 엄했는지 사뭇 거세게 나왔다.≪송기숙, 녹두 장군≫
- 그가 사람을 코앞에 두고도 사뭇 고함질을 치는 것은 직업에서 비롯된 습관인 모양이었다.≪황석영, 영등포 타령≫
- 저격 사건이 있던 다음이라 별동대원들 눈은 사뭇 날카롭게 번뜩였다.≪송기숙, 녹두 장군≫
- 하늘이 벗겨지면서 구름이 사뭇 달음질을 치더니 먼 산에 햇살이 비쳐 오는 것이었다.≪오유권, 대지의 학대≫
- 이선은 이제 집 부근을 살살 돌아다닐 정도가 되었다. 등의 상처는 이제 붙어 아물기 시작했는지 사뭇 간지러웠다.≪고정욱, 원균 그리고 원균≫
- 뱃전을 뚜들기고, 발로 밑바닥을 구르고 하는 바람에 배가 사뭇 기우뚱거렸다.≪하근찬, 나룻배 이야기≫
- 주인은 고래고래 악을 썼으나 울타리가 단단해서 쉽게 뚫고 나올 수도 없고, 높이도 사뭇 높아 얼른 뛰어넘을 수도 없을 것 같았다.≪송기숙, 녹두 장군≫
역사 정보
(15세기~19세기)>사못(18세기)>사뭇(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사뭇’의 옛말인 ‘’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다’의 어간이 부사로도 쓰였던 것으로 보이는데 근대 국어 시기 ‘ㆍ’의 음가 변화로 ‘사못’이 되었다가 현재 어형인 ‘사뭇’으로 정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
---|---|
이형태/이표기 | , 못, 믓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