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바늘

- 품사
- 「명사」
- 「001」옷 따위를 짓거나 꿰매는 데 쓰는, 가늘고 끝이 뾰족한 쇠로 된 물건. 한쪽 끝에 있는 작은 구멍에 실을 꿰어서 쓴다.
- 바늘 한 쌈.
- 그녀는 바늘에 실을 꿰어 한 땀 한 땀씩 수를 놓았다.
- 바느질을 하다 손끝을 바늘에 찔렸다.
- 그녀는 그걸 다시 접어 여미고 바늘로 꿰맨 다음 자리를 떴다.≪서기원, 조선백자 마리아상≫
- 그리고 안부 한 번 전한 일이 없는 냉담한 숙부를 위하여 한 올의 수실, 한 땀의 바늘 놀림에도 정성을 다했을 조카딸의 모습이 떠올라 눈시울이 뜨거워 오는 것이었다.≪한무숙, 만남≫
- 수염을 밀자면 면도칼이 필요하고 터진 군복을 꿰매자면 바늘과 실이 필요하고, 비 오는 날 성냥이 못 쓰게 되면 담뱃불을 댕길 라이터가 필요하게 된다.≪홍성원, 육이오≫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바(15세기~19세기)>바늘(17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바늘’의 옛말인 ‘바’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 이후로 제2음절 이하에서 모음 ‘ㆍ’가 ‘ㅡ’로 바뀌는 현상에 따라 17세기에 ‘바늘’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19세기까지 ‘바’과 ‘바늘’이 공존하다가 ‘바늘’로 통일되면서 현재에 이른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바, 바늘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3)
수어 정보수어 사전 보기
관용구·속담(17)
- 속담바늘 가는 데 실 가고 바람 가는 데 구름 간다
- 바늘이 가는 데 실이 항상 뒤따르고 바람이 가는 데 구름이 뒤따른다는 뜻으로, 사람의 긴밀한 관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바늘 가는 데 실 간다’ ‘구름 갈 제 비가 간다’ ‘바늘 따라 실 간다’ ‘바람 간 데 범 간다’ ‘봉 가는 데 황 간다’ ‘실 가는 데 바늘도 간다’
- 속담바늘 가는 데 실 간다
- 바늘이 가는 데 실이 항상 뒤따른다는 뜻으로, 사람의 긴밀한 관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구름 갈 제 비가 간다’ ‘바늘 가는 데 실 가고 바람 가는 데 구름 간다’ ‘바늘 따라 실 간다’ ‘바람 간 데 범 간다’ ‘봉 가는 데 황 간다’ ‘실 가는 데 바늘도 간다’
- 속담바늘 가진 사람이 도끼 가진 사람 이긴다
- 도끼같이 큰 무기를 가지고 있다고 하여 상대편의 사정을 봐주다가는 도리어 바늘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진다는 말. <동의 속담> ‘도끼 가진 놈이 바늘 가진 놈을 못 당한다’
- 속담바늘 끝만 한 일을 보면 쇠공이만큼 늘어놓는다
- 작은 일을 크게 과장하여 떠듦을 이르는 말.
- 속담바늘 끝에 알을 올려놓지 못한다
- 쉬울 듯하나 되지 않을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바늘 넣고 도끼 낚는다[나온다]
- 바늘을 가지고 낚시를 만들어서 물에 빠진 도끼를 낚아 낸다는 뜻으로, 적은 밑천으로 큰 이득을 도모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
- 바늘을 훔치던 사람이 계속 반복하다 보면 결국은 소까지도 훔친다는 뜻으로, 작은 나쁜 짓도 자꾸 하게 되면 큰 죄를 저지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바늘 쌈지[상자]에서 도둑이 난다’
- 속담바늘 들고[쥐고] 바늘 찾는다[찾기]
- 무엇을 자기 몸에 지니고 있거나 가까이 두고 있으면서도 그런 줄 모르고 찾아 헤매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바늘 따라 실 간다
- 바늘이 가는 데 실이 항상 뒤따른다는 뜻으로, 사람의 긴밀한 관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바늘 가는 데 실 간다’ ‘구름 갈 제 비가 간다’ ‘바늘 가는 데 실 가고 바람 가는 데 구름 간다’ ‘바람 간 데 범 간다’ ‘봉 가는 데 황 간다’ ‘실 가는 데 바늘도 간다’
- 속담바늘로 몽둥이 막는다
- 당해 낼 수 없는 힘으로 큰 것을 막으려 하는 어리석은 행동을 비꼬는 말.
- 속담바늘로 찔러도 피 한 방울 안 난다
- 사람이 매우 단단하고 야무지게 생겼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바늘만큼 시작된 싸움이 홍두깨만큼 커진다
- 처음에는 하찮은 일로 옥신각신하던 다툼이 차츰 커져서 큰 싸움으로 변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바늘보다 실이 굵다
- 바늘에 꿰야 할 실이 바늘보다 굵다는 뜻으로, 커야 할 것이 작고 작아야 할 것이 커서 사리에 어긋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바늘 쌈지[상자]에서 도둑이 난다
- 바늘을 훔치던 사람이 계속 반복하다 보면 결국은 소까지도 훔친다는 뜻으로, 작은 나쁜 짓도 자꾸 하게 되면 큰 죄를 저지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
- 속담바늘에는 소나 범[곰]이라
- 바늘에 대해서는 소나 곰처럼 다룰 줄 모른다는 뜻으로, 바느질을 할 줄 모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바늘 잃고 도끼 낚는다
- 작은 것을 잃고 큰 것을 얻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바늘 주고 방아공이 낚는다
- ‘바늘 넣고 도끼 낚는다[나온다]’의 북한 속담.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