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바라다발음 듣기]
활용
바라[바라발음 듣기], 바라니[바라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기를】
「001」((‘-기를’ 대신에 ‘-었으면 하고’가 쓰이기도 한다)) 생각이나 바람대로 어떤 일이나 상태가 이루어지거나 그렇게 되었으면 하고 생각하다.
요행을 바라다.
도움을 바라다.
너의 성공을 바란다.
시험에 합격하기를 바란다.
건강하게 오래오래 사시기를 바랍니다.
전쟁이 빨리 끝나기를 바란다.
기적이 있기를 바란다.
부모는 자식이 행복하기를 바란다.
부디 참석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그는 내심 아들이 하나 있었으면 하고 바란다.
친구의 사업이 성공했으면 하고 바라 마지않는다.

역사 정보

라다(15세기~19세기)>바라다(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바라다’의 옛말인 ‘라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8세기에 어두음절의 ‘ㆍ’가 ‘ㅏ’로 변하는 ‘ㆍ’의 제2차 소실이 일어남에 따라 ‘라다’도 ‘바라다’로 변화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라다, 다, 바라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라다)
그 아비 노 묏 그테 올아 울며 라며 너교 ≪1447 석상 11:29ㄱ
16세기 : (라다)
하 어듸 급시기를 라리잇가1510년대 번박 60ㄱ
17세기 : (라다)
곧 그 몸이 終토록 成人으로 라디 몯리라 ≪1632 가언 3:20ㄱ
18세기 : (라다, 다, 바라다)
이러시 草率니 엇디 그 감동야 밋기 라리오마 ≪1756 어제훈서 27ㄴ≫
드러가옵셔 막오시기를 이다 거 ≪1777 명의 권수상:34ㄴ
두던의 부르지져 날마다 예 곡셕이 와 먹이믈 바라니1785 유제주윤음 5ㄴ
19세기 : (라다, 다, 바라다)
셩모 의지고 라 거시 텬쥬의 간션신 보람이라 니 ≪1865 주년 30ㄱ
텬쥬ㅣ 영복으로 갑하 주심을 니라1882 성절 16ㄴ
너희드리 힘 기를 가 마다 바라노라1880 과화 14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