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깨다발음 듣기]
활용
깨어[깨어발음 듣기](깨[깨ː발음 듣기]), 깨니[깨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5」단단한 물체를 쳐서 조각이 나게 하다.
그릇을 깨다.
달걀을 깨다.
공으로 유리창을 깨다.
총탄이 돌 조각을 산산이 깨어 갈대 위로 우수수 소낙비처럼 내려 쏟는다.≪홍성원, 육이오≫
규배가 등굣길에 상점의 진열장을 깨고 라디오 한 대를 훔쳤다는 것이다.≪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매해 크리스마스만 되면 일 년 내 모은 돼지 저금통을 불우한 이웃을 위해 아낌없이 깨는 건 착한 꼬마들의 몸소 실천하고 있는 선행이자 연중행사였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한 삽씩 흙을 퍼내고, 쌓인 흙을 져다 내버리고, 둑을 다듬고, 제방을 쌓느라고 돌 깨는 소리가 그칠 날이 없었다.≪최명희, 혼불≫

관련 어휘

비슷한말
깨-뜨리다
지역어(방언)
께다(제주)
옛말
다

역사 정보

다(15세기)>다(18세기~19세기)>깨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깨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근대 국어 시기에 어두 자음군이 사라지면서 18세기에는 ‘-’의 초성 ‘ㅴ’에서 ‘ㅂ’이 탈락하고 ‘ㄱ’의 된소리로 변화하여 ‘-’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19세기에 ‘ㄱ’의 된소리 표기가 ‘ㅺ’에서 ‘ㄲ’으로 바뀌어 ‘깨-’로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18세기에 나타난 ‘-’는 ‘-’의 이표기이다.
이형태/이표기 다, 다, 다, 다, 깨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다)
科 구디오 判은 야 홀씨오 疏 經 들 올오리 릴씨오 ≪1461 능엄 1:16ㄱ
18세기 : (다, 다)
의 알 나흘 가져 여 흰 거슬 내야 糯米飯에 버무려 고로게 야 ≪1792 무원 3:53ㄴ≫
가족을 벅 죠을 글며 을 여 보슬 글며 피를 질너 먹을 그라 ≪1760 보행 7ㄱ
19세기 : (다, 깨다)
이런 가마귀도 쳐음에 조개 수 업슬 에 수 업다 고 그만 두엇스면 ≪1896 심상 2:29ㄱ
먹다 剖之栢子 ≪1895 국한 250

다중 매체 정보(1)

  • 깨다
    깨다

    깨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