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갈리다발음 듣기발음 듣기]
활용
갈리어[갈리어발음 듣기/갈리여발음 듣기](갈려[갈려]), 갈리니[갈리니]
품사
「동사」
「006」다른 물건에 문질러져 날카롭게 날이 서거나 표면이 매끄러워지다. ‘갈다’의 피동사.
칼이 잘 갈렸다.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이다(15세기~18세기)>리다(18세기~19세기)>갈니다(19세기)>갈리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갈이다’의 옛말인 ‘이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는 “갈다”를 뜻하는 동사 ‘-’에 피동 접미사 ‘-기-’가 결합한 것으로, ‘ㄹ’ 뒤에서 ‘ㄱ’이 약화되어 제2음절의 첫소리가 유성 후두 마찰음 ‘ㅇ’[ɦ]으로 실현된 ‘이-’로 나타난 것이다. 16세기에 유성 후두 마찰음 ‘ㅇ’[ɦ]이 소멸하고 18세기에 피동 접미사가 ‘-리-’가 결합하는 것으로 재결합되었다. 또한 같은 시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하여 ‘갈리-’로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19세기의 ‘갈니-’는 근대 국어 시기에 어중에서 ‘ㄹㄹ’이 연속되어 나타나는 경우 ‘ㄹㄴ’으로 적는 표기 경향에 의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이다, 리다, 갈니다, 니이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이다)
엇뎨 오래 이뇨 오직 磷緇티 아니호 取홀디니라 ≪1481 두시-초 23:33ㄱ
17세기 : (이다)
엇뎨 오래 이뇨 오직 磷緇티 아니호 取홀디니라 ≪1632 두시-중 23:33ㄱ
18세기 : (이다, 리다)
鏇了 이다1775 역보 45ㄴ
鏇了 이다1778 방유 해부:1ㄱ
모밀  려 온 고 만히 코 손으로 진득진독 누로면 즉시 그치니 ≪17세기 두경 27ㄴ
19세기 : (갈니다, 니이다)
갈니다 磨 ≪1880 한불 134
입이 거픔이 나고 입시울이 움이고 니 니이고 머리털이 니러셔니 ≪1892 성직 6:68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