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감ː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3」옷이나 이불 따위를 만들 때 쓰이는 천.
구김이 잘 가는 .
감을 끊다.
감에 검은 물을 들였다.
이 옷은 감이 부드럽다.
포목상에 가서 설빔 지을 감을 사 왔다.
이 양복은 감이 싸구려 티가 난다.

역사 정보

(15세기~16세기)>(16세기~18세기)>음(18세기~19세기)>가음(19세기)>감(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감’의 옛말인 ‘’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은 16세기 이후 유성마찰음인 ‘ㅿ’[z]이 소멸함에 따라 ‘’으로 변하였다. 또한 16세기 후반에 제2음절 이하의 ‘ㆍ’는 ‘ㅡ’로 변하였는데, 이러한 변화를 ‘’도 겪었을 것이다. 그리하여 18세기에 ‘음’과 같은 형태가 나타나게 되었다. 18세기에는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하였는데, ‘음’도 이 변화를 겪어 19세기에 ‘가음’이 되었다. 19세기 후반 이후 ‘가음’이 한 음절로 축약되어 오늘날과 같은 형태인 ‘감’이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 , 음, 가음
세기별 용례
15세기 : ()
實로 블 닐 미라1459 월석 12:41ㄴ
몸 견주 法은 몬져 옷로 엇게로셔 밧귀머리 우희 네 가락만 견주아 쟉 오 녀나 葉相 마 로 라 ≪1459 월석 25:20ㄴ
이 衆生 三界 버스닐 다 諸佛ㅅ 禪定解脫等 즐길  주니 ≪1463 법화 2:99ㄴ
이 經을 供養호 므스 거스로 供養홀  사리오 ≪1482 금삼 3:51ㄴ
16세기 : (, )
이 와 뵈를 北京의 가 오  므슴   사 高麗ㅅ 해 도라가 뇨 ≪1510년대 번노 상:12ㄴ
우리 다티   의논호 엇더니오 ≪1510년대 번노 하:21ㄱ
  ≪1575 천자-광 16ㄴ
  ≪1576 신합 하:28ㄱ
次 례    ≪1576 신합 상:3ㄱ
  ≪1583 천자-석 16ㄴ
17세기 : ()
裁帛 옷 裁兒 옷 裁衣裳 옷 다 ≪1690 역해 하:6ㄱ
무량 각양으로 지으려 노라 이 다 잇냐 ≪1677 박언 하:12ㄴ
그러면 졍히 마 이로다1677 박언 하:53ㄴ
18세기 : (, 음)
衣料 옷1778 방유 유부 24ㄴ
絲料 실ㅅ1778 방유 유부 27ㄴ
이  필 스믠 문 비단은 이 두  큰 옷 이니 실 갑시 열두 냥이라 ≪1765 박신 2:09ㄱ
이 비단  疋이 큰 옷 음 두 이 넉넉니 ≪1765 박신 1:16ㄴ
깁픈 신을 일우와 다 샹묘 여러 공양 음으로 공양을 리니 ≪1760 보행 3ㄴ
19세기 : (음, 가음)
가음 음 材料 ≪1880 한불 120
사드리 거슨 곡식과 쇠와 갑피와 아모 차ㅅ음이며 온갓 실과 면쥬와 털노  필육과 모든 믈 음과 금 은과 셔양 텰이니 ≪1889 사민 28≫
걸이 材料 가음1880 한불 147
가음으로 헌 옷 깁 이가 업 거 새로 기운 거시 헌 옷 당긔여 해여짐이 더 이오 ≪1900 신약 마가 2:21≫

관용구·속담(1)

속담감이 재간이다
어떤 감이 쓰이느냐에 따라 일의 성과가 좌우되므로 감이 곧 일재간이 된다는 뜻으로, 재료가 좋으면 일도 잘됨을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